‘해체파’ 기초당원제 재도입에 ‘혁신파’ 효력정지 가처분으로 맞서
여당 내 전당대회 무용론이 확산되고 있다.
이는 기간당원제를 폐지하고 기초당원제·공로당원제를 도입하는 당헌개정안에 대해 법원이 효력정지를 결정했음에도, 열린우리당 비상대책위원회가 다시 중앙위원회를 소집해 효력정지된 당헌개정안을 다시 통과시키겠다는 방침을 세운 데 따른 것이다.
해체파는 중앙위에서 기초당원제 당헌개정안이 통과될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중앙위원 재적 68명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기간당원제 수호 의사를 공공연하게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기초당원제가 통과되지 않을 경우 친노성향이 다수인 기간당원제로 치러지는 전당대회에서 승산이 없고, 설사 전당대회를 통해 당 해체를 결의한다 해도 그 절차에 걸리는 4개월간 시간낭비라고 보는 관점도 있다.
해체파의 정동영 열린우리당 전 의장은 21일 “소수 개혁모험주의자들이 지분정치, 기득권 지키기 정치가 계속된다면 같이 갈 수 없다”고 말하면서 선도탈당 가능성을 시사했다.
반면 혁신파는 해체파야말로 지분정치를 하고 있다고 반박한다. 비대위와 해체파가 회의록을 위조하는 등 정당민주주의를 훼손하면서 당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당헌개정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냈던 기간당원 김석중씨는 “중앙위에서 당헌개정안이 통과되더라도 결국 전당대회에서 추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기초당원제로 전당대회를 치르는 것은 무효”라며 이 경우 다시 가처분신청을 낼 것을 분명히 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