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안위성 2A호 발사 초읽기...한반도 기상-우주 관측정보 더 정확해진다
천리안위성 2A호 발사 초읽기...한반도 기상-우주 관측정보 더 정확해진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차세대소형위성 1호는 11월 20일, 천리안위성 2A호는 12월 5일 발사
태양전지판이 펼쳐진 천리안위성 2A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태양전지판이 펼쳐진 천리안위성 2A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천리안위성 2A호 등 우리 인공위성들이 발사 초읽기에 들어간다.

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천리안위성 2A호’를 12월 5일 오전 5시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꾸루에서 ‘차세대소형위성 1호’를 내달 20일 오전 3시 미국 반덴버그 공군 기지에서 각각 발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천리안위성 2A호는 지난 16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출발해 현지기준 18일 기아나 우주센터에 도착하며, 차세대소형위성 1호는 18일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출발해 현지기준 21일 반덴버그 공군 기지에 도착할 예정이다. 

이로써 천리안위성 2A호는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일 전까지 상태 점검, 연료주입, 발사체 결합 등 발사 준비 과정을 거쳐, 아리안스페이스사의 아리안(Arian)-5 발사체로 발사될 예정이다. 

발사 후에는 한 달여간 궤도전이 과정을 거쳐 고도 3만 6,000km의 정지궤도에 안착하며, 약 6개월간 초기운영 과정을 거쳐 내년 7월부터 본격적인 기상 및 우주기상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천리안위성 2A호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상관측 탑재체를 보유하고 있어, 한반도 지역의 다양한 기상 정보를 천리안위성 1호에 비해 18배 빠른 속도(115Mbps)로, 4배 선명한 컬러영상(해상도 0.5km)으로 지상에 전달한다. 

평상시에는 10분마다 전지구 관측을 하고, 위험기상 시에는2분마다 해당 지역을 관측하여 최신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국내에서 개발한 우주기상 탑재체는 인공위성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는 태양 흑점 폭발이나 지자기 폭풍 등 우주기상 관측정보를 국민들에게 제공하며, 고에너지입자의 검출이나 지구자기장의 미세변화 측정 등을 통해 우주기상 과학 연구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차세대소형위성 1호는 스페이스X사 팰컨(Falcon)-9 발사체에 실려 발사될 예정이다. 575km 상공의 저궤도에 안착한 이후에는 약 3개월 동안의 시험운영을 거친 후, 본격적인 우주과학 연구에 활용될 우주관측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차세대소형위성 1호는 우주 방사선 및 플라즈마 상태를 측정하고, 별의 적외선 분광을 관측하는 등 우주폭풍 및 별 탄생 역사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다. 또한, 국내 대학 및 산업체가 우주 핵심기술의 국산화를 위해 개발한 7개 핵심기술의 성능을 우주환경에서 검증하는 임무도 수행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