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들 추락위험 그대로 노출...방치한 공사현장 무더기 적발
근로자들 추락위험 그대로 노출...방치한 공사현장 무더기 적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64곳의 건설현장 중 581곳에서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사진은 기사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없는 참고용 이미지 / ⓒ시사포커스DB
사진은 기사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없는 참고용 이미지 /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근로자들의 추락위험을 사전에 방지하지 않은 공사현장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22일 고용노동부는 지난 달 추락사고 사망 위험이 높은 중소규모 건설현장(764곳)의 외부비계에 대한 기획감독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감독결과 764곳의 건설현장 중 581곳에서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사실이 적발됐다.

또 안전난간이나 작업발판을 설치하지 않는 등 급박한 사고위험이 있는 현장(221곳)에 대해서는 바로 작업중지 명령을 내렸다.

더불어 비계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지 않는 등 추락사고 위험을 방치한 현장(515곳, 67.4%)의 사업주는 형사 입건됐고, 근로자에게 안전교육 등을 실시하지 않은 사업장(158곳)은 시정지시와 함께 과태료가 총 4억여 원이 부과됐다.

특히 건설현장 사망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전난간, 작업발판 등 안전시설도 중요하지만 근로자의 안전모, 안전대 등 보호구 착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개인에게 지급된 보호구(안전모, 안전대 등)를 착용하지 않고 작업한 근로자(38명)에게는 과태료가 함께 부과됐다.

한편 같은 날 노동부 관계자는 “추락사고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건설현장 단속을 통해 안전시설물 설치가 불량한 현장에 대해서는 작업중지 뿐만 아니라 형사입건 등 사법조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소규모 건설현장에 대해 추락재해 예방에 필요한 기술과 추락방지시설 설치비용을 지원하고 있으니,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이를 신청하여 근로자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기를 당부 드린다”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