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력 보다 부족한 '전기차-수소차' 충전시설 대폭 '확대'
기술력 보다 부족한 '전기차-수소차' 충전시설 대폭 '확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기차 관리체계가 개선 '등록부터 폐차까지 체계적 전산시스템 구성'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전기차, 수소차의 충전 인프라 보급이 대폭 확대된다.

24일 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4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주재하고 ‘전기차 이용 활성화를 위한 충전인프라 강화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등을 논의했다.

특히 전기차 관리체계가 개선돼 지자체, 제작사 등이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전산 시스템을 구축해 전기차의 등록부터 폐차까지 전 과정에 대해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갈 예정이다.

또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차를 공공기관이 적극 구매하도록 함으로써 친환경차 수요기반을 보다 강화해 나가도록 했다.

더불어 내년에 수소차 2천대 보급 및 수소충전소 30개를 설치하고, 친환경 수소차 보급사업도 병행해 나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이낙연 총리는 “광화문에서 공회전하고 있는 경찰버스를 수소버스로 교체해 갈 것”이라고 제안하며 “(이를 통해) 도심의 미세먼지도 줄이고 수소차에 대한 시민의 관심도를 높여 수소차의 내수를 늘리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날 이 총리는 “한국은 수소차와 연료전지 등의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갖고 있다”며 “얼마 전 대통령께서 파리에서 시승한 수소차도 우리 기업이 세계에서 처음으로 양산한 차량”이라며 부족한 인프라 현실을 안타까워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