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해 바닷속 해저지형 이름은 우리말 '해달해산군'
남극해 바닷속 해저지형 이름은 우리말 '해달해산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해양조사원, 우리말 해저지명 3건 국제 공식지명으로 등재
위치도 / ⓒ국립해양조사원
위치도 / ⓒ국립해양조사원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깊은 바닷속 이름 없는 해저지형이 우리말로 다시 태어난다.

26일 국립해양조사원에 따르면 최근 제31차 해저지명 소위원회 회의에서 우리말 해저지명 3건이 국제 공식지명으로 등재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지난 2007년 최초로 안용복 해산, 울릉대지 등 10개 우리말 해저지명을 국제 공식지명으로 등재한 이래, 이번에 3건을 추가 등재함으로써 전 세계 해역에 총 57개의 우리말 해저지명을 보유하게 됐다.
  
이번 회의에서 등재된 해저지명은 동해 바닷속의 ‘울진해저계곡’과 남극해 바닷속의 ‘해달해산군’, 북서태평양 바닷속의 ‘키오스트해산’까지 총 3건이다. 

이번 등재는 우리 관할해역뿐만 아니라 남극해와 북서태평양 해역이 포함돼 전 세계적으로 우리말 해저지명을 널리 알리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편 울진해저계곡은 동해안 울진 앞바다에서 발견된 해저계곡으로 ‘울진’의 육상지명을 차용했으며 해달해산군은 해저지형이 마치 해달이 헤엄치는 모습과 유사하다고 해 붙여진 이름이다.
  
특히 ‘키오스트해산’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2017년 시행한 이사부호의 서태평양 탐사 중 발견한 북서태평양 괌 동측 공해상에 존재하는 수중화산이다. 

한편 앞서 국립해양조사원은 2009년 태평양을 시작으로 우리나라 관할해역 외의 해역에서도 우리말 해저지명 등재를 위해 힘쓰고 있다. 

최근에는 남극수로조사를 실시해 ‘설악해산’ 등 남극해역의 우리말 해저지명을 국제지명으로 등재키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