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호 의원 "한전, 전기료 인상으로 지하철 적자…요금 인상 우려"
최인호 의원 "한전, 전기료 인상으로 지하철 적자…요금 인상 우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 의원 "지난 6년간 지하철 전기료 1.7배 증가"
사진 / 시사포커스DB
사진 /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이 매년 지하철 전기료를 인상해 전국 6대 광역시 지하철 운영기관들의 적자규모가 더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일각에서는 지하철 요금이 오를까 우려를 표했다.

29일 더불어민주당 최인호 의원이 철도운영기관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의하면 전국 철도운영기관(철도공사 및 서울·부산·대구·인천·대전·광주 지하철 공사)의 전기사용량은 2011년 4424GWh에서 2017년 4932GWh로 1.1배 증가한 반면, 전기료는 2011년 3624억원에서 2017년 6174억원으로 1.7배 증가했다.

이같이 전국 철도운영기관의 전기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이유는 한전의 전기료 인상에 따른 것이다.

한전은 2012년 11월 철도운영기관 요금제를 값싼 산업용에서 비싼 산업용으로 변경한 후 전체요금 인상과 별도로 지하철 전기료에 대해 2017년말까지 연평균 3%씩 인상해왔다. 그 결과 2011년 kW당 82원이던 전기요금은 2017년 125원으로 1.5배 상승했다.

최 의원은 특히 2017년 기준 철도운영기관의 원가보상률이 51% 수준에 불과해 전기료 인상이 철도운영기관의 대규모 손실로 이어졌고, 최근 5년간 누적 적자금액이 10조원에 달하고 있어 문제라고 지적했다.

최 의원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기관별 원가보상률은 철도공사 85%, 서울교통공사 65%, 부산교통공사 42%, 대구도시철도공사 64%, 인천교통공사 40%, 대전도시철도공사 51%, 광주도시철도공사 13% 수준이다.

이에 최 의원은 “지난 7일 서울교통공사가 매년 5000억원 규모의 적자를 감당하지 못해 지하철 요금인상 계획을 서울시에 건의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택시에 이어 버스·지하철 요금인상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많다”라며 “일평균 700만명이 이용하는 지하철은 대표적인 서민교통 수단임에도 원가보상률이 51% 수준에 머물러 심각한 적자구조에 놓여있어 지하철 전기료 인상이 요금 인상으로 이어질까 우려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