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석탄발전소 가동중지로...초미세먼지 줄어들고 있다
노후 석탄발전소 가동중지로...초미세먼지 줄어들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남지역 최대영향지점에서 평균적으로 6.2% 낮아져
가동중단에 따른 최대영향지점 모델링 결과 / ⓒ환경부
가동중단에 따른 최대영향지점 모델링 결과 / ⓒ환경부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노후 석탄발전소 가동중지에 따라 초미세먼지 농도가 개선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7일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올해 3~6월 가동을 중단했던 전국 5기 노후 석탄발전소(충남 2기, 경남 2기, 강원 1기)의 대기질 영향을 분석한 결과, 충남지역에서 초미세먼지(PM2.5) 농도 개선 효과가 컸다고 발표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충남(27곳)에서 초미세먼지 농도를 실측한 결과, 이번 가동 중단기간의 충남지역 초미세먼지 농도가 2015년과 2016년 3~6월 평균치 비해 24.1%인 7㎍/㎥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석탄발전소 가동 중단에 따른 초미세먼지 농도 저감효과는 충남지역 최대 영향지점인 보령에서 6.2%인 1.4㎍/㎥(22.5 → 21.1㎍/㎥)으로 감소했다.  

이 지역의 단기간 가동중단에 따른 초미세먼지의 감소 효과는 일 최대 18.7%(7.1㎍/㎥), 시간 최대 15.7%(25.7㎍/㎥) 감소로 나타나기도 했다.

특히 노후석탄 화력발전소 가동 중단으로 저감된 초미세먼지는 충남 487톤, 경남 474톤, 강원 94톤으로, 총 1,055톤의 초미세먼지가 줄은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또 환경당국은 배출량 저감으로 인한 사회적비용 감소 효과는 초미세먼지 2,922억 원, 온실가스 2,232억 원 등 총 5,154억 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