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래 수능 출제위원장, "교육과정 내 일관된 출제 기조 유지"
이강래 수능 출제위원장, "교육과정 내 일관된 출제 기조 유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9년 개정 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내용 충실히 반영"
이강래 출제위원장이 1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19 대입 수학능력시험 출제 기본방향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 ⓒ뉴시스
이강래 출제위원장이 1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19 대입 수학능력시험 출제 기본방향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 ⓒ뉴시스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전국적으로 일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출제 방향은 교육과정 내에서 일관된 출제 기조 유지했다.

15일 이강래 수능 출제위원장은 세종정부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출제위원단은 2009년 개정 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내용과 수준을 충실히 반영하고 대학교육에 필요한 수학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출제 기본방향을 설정했다”고 밝혔다.

이강래 위원장에 따르면 “학교 교육을 통해 학습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췄으며 특히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함으로써 고등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도움이 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타당도 높은 문항을 출제하기 위해 이미 출제됐던 내용일지라도 교육 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은 문항의 형태와 발상 그리고 접근방식 등을 일부 수정해서 출제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국어와 영어 경우 “출제 범위를 바탕으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했고 기타 나머지 영역들은 개별 교과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 사고력 중심의 평가를 지향하고자 했다”며 “필수로 지정된 한국사 영역은 우리 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평가하기 위해서 핵심 내용을 위주로 가급적이면 평이하게 출제했다”고 설명했다.

또 “기본개념에 대한 이해와 적용 능력 그리고 주어진 상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추리, 분석, 탐구하는 사고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출제했으며 각 문항은 교육과정 상의 중요도와 문항의 난이도 그리고 풀이에 필요한 사고 수준과 소요 시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차등 배점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이강래 위원장은 “학생들의 과도한 수험 부담을 완화하고 학교 교육의 내실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일관된 출제기조를 유지하고자 노력했다”며 “이를 위해서 학교 수업을 충실히 받은 수험생이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으로 출제하고자 했다”고도 했다.

한편 이번 수능은 총 59만 4924명이 응시해 86개지구 1190개 시험장에서 8시 40분 지금부터 시작해서 오후 5시 40분까지 시험을 치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