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민주평화당이 22일 사법농단 연루 의혹을 받고 있는 현직 판사들에 대한 탄핵소추 추진을 당론으로 확정했다.
장병완 평화당 원내대표와 최경환 신임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애서 열린 정책의원총회 직후 브리핑을 통해 “한 두 분은 탄핵절차가 필요하더라도 안타깝다고 했지만 전체 의원들이 탄핵소추안이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며 이 같은 결과를 전했다.
다만 장 원내대표는 “선거제 개혁이 탄핵보다 선행돼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도 같이 정했다”며 “사법농단 문제는 언제든 논의할 수 있다. 정기국회에선 선거제도 개혁에 전념해서 논의하자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뒤이어 최경환 원내수석부대표 역시 “탄핵소추안을 추진하지만 선거제 개혁이 더 중요한 문제란 입장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는데, 그러면서도 최 원내수석은 “사법농단은 분명 헌법과 법률을 위반한 사항”이라며 “선거제 개혁을 조건으로 탄핵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고 역설했다.
이 뿐 아니라 그는 자유한국당 소속인 여상규 법제사법위원장이 국회의 현직 법관 탄핵 추진에 회의적 시각을 갖고 있는 점에 대해서도 “여 위원장이 탄핵이 제대로 될 것이냐, 탄핵 대상자를 특정할 수 있느냐고 하지만 (법원이) 사법농단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기각하고 있어 증거자료가 파기돼 유죄 입증을 위한 증거확보가 어려워진 상황”이라며 “법원이 제 식구 감싸기할 가능성이 크다. 법관의 경우 헌법상 신분보장 조항에 의해 파면 등 중한 징계가 어려워서 탄핵절차가 필요하다”고 반박했다.
한편 여 위원장은 앞서 이날 오전 MBC라디오 ‘심인보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국회가 조사권이 있는 것도 아니고 지금은 검찰 수사 중이다. 누가 기소가 될는지 기소되면 그 사람이 과연 유죄로 확정될는지 여부가 아무것도 정해진 게 없다”며 “이런 상황에서 법관 대표자라는 사람들이 모여 가지고 국회의 그 탄핵소추를 촉구한다든지 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 완전히 시기상조”라고 주장한 바 있다.
'양승태 사법농단' 수사에 대한 영장은 90%이상 기각되고 있습니다.
그러는 사이, 검찰청, 법원에 쏟아붓는 세금은
'밑빠진 독에 물붓기'
식으로 낭비되고 있습니다.
'특별법 제정', '국정조사' 를 해야할 국회는
꿈쩍도 안하고 세월만 보내고 있습니다.
이런 위기상황에 누가 난국을 타개할 것입니까?
5천만 국민 모두가 고발하고, 탄핵청원하고, 국정조사청원하고, 입법청원해야 합니다.
다른나라 국민이 이거 해주지 않습니다.
5천만 우리 국민이 해야 합니다.
그리고, 밥값 못하는 국회의원은 전부 '아웃' 시켜야 합니다.
박근혜는 '사법농단 척결' 안하고 버티다가 '탄핵' 되었습니다.
'사법농단 척결' 은 5천만 국민 모두가 '투사' 가 되지않고는 이기기 힘든 싸움입니다.
[국민감사] '사법농단 척결' 은 5천만 국민 모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