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전대까지 산적한 고비들
여당, 전대까지 산적한 고비들
  • 윤여진
  • 승인 2007.01.30 09: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세균 합의추대·선도탈당파 행보 등 변수 남아

▲ 정세균 열린우리당 국회의원
열린우리당이 29일 중앙위원회의에서 기초·공로당원제를 도입함에 따라 2·14 전당대회로 가는 한 고비를 넘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으로 당내 갈등이 봉합될지는 불투명하다. 당장 당의장 합의추대 문제로 당내 계파가 의견 대립을 보이고 있다. 민평련·중도파·혁신파는 산업자원부 장관을 지내다 이달 초 당으로 돌아온 정세균 의원을 합의추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반면 보수실용파는 작년 초 당의장·원내대표를 겸직하다 충분한 논의절차 없이 장관에 발탁된 점을 들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다. “정 의원의 입각 당시 대다수 의원들이 분노했던 때를 기억하면 정 의원을 합의추대하자는 말은 할 수 없을 것”이라지만 속셈은 통합신당 일정을 앞두고 친노계열로 분류되는 정 의원에게 주도권을 내줄 수 없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염동연 의원의 광주전남그룹과 김한길 원내대표의 밀알회가 기획탈당을 준비하고 있다는 점도 또다른 변수다. 탈당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두 계파는 각각 의원만 10명선이 된다.

중앙위의 물리적 저지까지 공언했던 김두관 전 행정자치부 장관의 강경혁신파도 변수다. 의정연·참정연 등 다른 친노계파들이 기초·공로당원제를 수용하기로 결정했음에도, 김 전 장관의 동생 김두수 열린우리당 중앙위원은 29일 중앙위원회의에서 기초·공로당원제 도입에 대해 유일한 반대표를 던졌다.

전당대회 정족수도 장애물이다. 1만3천명의 대의원 가운데 6천500명이 참석해야 하는데, 전당대회 예정일인 2월 14일은 수요일 평일이다. 혁신파든 해체파든 전당대회에 협조하지 않겠다는 방침이 정해진다면 전당대회 자체가 무산될 수도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