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노 대통령 발언 정면 반박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가 28일 노무현 대통령의 연세대 특강 발언에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박 대표는 이날 당원대표자대회에서 노 대통령이 "보수는 힘센 사람이 맘대로 하는 것이고 진보는 더불어 사는 것", "합리적 보수, 따뜻한 보수, 별놈의 보수 다 갖다놔도 보수는 바꾸지 말자는 것"이라고 말한 것을 조목조목 작심하고 따졌다.
박 대표는 "어제 노 대통령 발언에서 또다시 상생의 분위기를 깨고 국론분열을 일으키는 것 같아 굉장히 우려된다"고 운을 뗀 뒤 "대통령이 이렇게 잘못된 인식을 갖고 스스로 보수라고 생각하는 많은 국민들을 모욕하면서 어떻게 국민통합을 하려는지 정말 걱정"이라고 지적했다.
박 대표는 "보수는 끊임없이 고치며 살자는 것"이라며 노 대통령의 `보수관'을 반박한 뒤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외에 우리가 바꾸지 말자고 한 게 무엇이냐"고 따졌다.
또 "보수가 가로막는다고 했는데 국가보안법을 폐지하고 송두율씨를 민주인사로 만들고, 공산주의를 허용하는 거 이런 걸 막는 것 이외에 보수가 막는다는 게 무엇인가"라고 목청을 높이며 반격했다.
이어 그는 "조폭문화를 청산해서 정경유착을 끊어야 한다고 했는데, 정경유착이 문제라면 지난 대선 때 여야 후보가 모두 다 청산대상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 대표는 "한나라당은 우리만 선이고 대통령과 여당은 악이라고 생각지 않으며 그것이 상생의 정치와 국민통합의 시작"이라며 "노 대통령은 역사에 존경받는 대통령이 되기를 바란다"는 말도 곁들였다.
이와 함께 박 대표는 노 대통령의 발언을 의식한 듯 "이제 우리 모두가 새롭게 태어나지 않으면 내일을 기억할 수 없을 것"이라고 변화와 개혁에 대한 `경종'을 울리며 "우리 야당이 정신 똑바로 차려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더욱 튼튼히 지키고 발전시키자"고 덧붙였다.
하루 앞서 노 대통령은 연세대 `리더십 특강'에서 상생의 조건과 개념을 정의하면서 독특한 비유를 통해 보수와 진보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했다.
노 대통령은 특강에서 "대화와 타협의 문화가 상생"이라고 전제하고 "상대방에 양보받기 위해, 공격하기 위해 상생을 내세우면 반드시 실패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나아가 "어떤 게 상생인지 알아야 한다. 세상변화를 수용하고 새 문화를 장려해야 할 때 낡은 문화를 고집하면 안 되고, 배제의 습관이 남아 배제하려고 하는데 그런 방법으로는 상생할 수 없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어 "대화와 토론, 설득이 얼추 다 됐는데 마지막 꼭지가 안 따질 때 표결하고 결과를 승복하는 게 상생"이라며 "규칙을 무시하면 상생은커녕 스포츠게임도 안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노 대통령의 이같은 언급은 김혁규 총리후보 지명문제를 두고 "야당과 상생하려면 그런 배신자를 총리후보로 지명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는 한나라당을 겨냥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그러면서 노 대통령은 "합리적 보수니 따뜻한 보수니, 별놈의 보수를 갖다놔도 보수는 바꾸지 말자는 것"이라며 거듭 한나라당을 염두에 둔 듯한 발언을 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