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 때 철거된 '돈의문' 104년 만에 증강현실 속으로
일제시대 때 철거된 '돈의문' 104년 만에 증강현실 속으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문화재청-우미건설-제일기획, 문화재 복원·관광콘텐츠 개발 '돈의문 프로젝트'
돈의문 옛 모습 / ⓒ서울역사박물관
돈의문 옛 모습 / ⓒ서울역사박물관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일제시대 때 사라진 ‘돈의문’이 AR기술로 104년 만에 돌아온다.

6일 문화재청 등에 따르면 조선시대 한양도성 4대문 중 하나로 1915년 일제에 의해 철거된 후 지금까지 유일하게 모습이 남아있지 않은 ‘돈의문’이 4차산업 혁명의 핵심 IT기술 중 하나인 증강현실(AR)로 104년 만에 되살아난다. 

돈의문 터인 정동사거리 인근에서 스마트 기기로 비추면 화면상에 옛 돈의문의 모습이 그대로 재현되는 새로운 개념의 복원.

‘돈의문(敦義門)’은 일명 ‘서대문’이라고도 하며 1396년 완성된 후 몇 차례의 중건을 거쳤다가 1915년 일제강점기에 도시계획의 도로확장을 이유로 철거됐다. 

이후 여러 차례 복원을 시도했지만 교통난, 보상 등 현실적인 제약으로 복원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에 서울시가 문화재청, 우미건설, 제일기획과 협력해 잃어버린 문화재인 돈의문을 디지털로 재현•복원하고 문화관광 콘텐츠로 개발하는 ‘돈의문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IT기술을 통해 인근 교통난, 보상 등 재현•복원상의 현실적인 문제를 극복하면서도 돈의문의 역사성을 복원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돈의문 증강현실(AR) 재현과 함께 인근에 돈의문을 모티브로 한 상징물을 설치하고, 관광객들이 이곳에서 한양도성과 돈의문의 다양한 스토리를 경험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한편 같은 날 문화재청의 한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와 연계된 문화재 디지털 재현·복원과 융복합 문화콘텐츠 개발로 지속가능한 문화재 보호와 역사문화도시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이라며 “다양한 문화재의 디지털 재현·복원을 위해 협력사업의 폭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