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가 7일 연동형 비례제 도입을 주장하고 있는 이유와 관련해 “농민당, 청년당, 녹색당, 대학당 이런 대표자들이 국회에 들어올 수 있게 만들자는 것이 핵심”이라고 밝혔다.
선거제 개혁을 요구하는 1위 시위를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진행 중인 정 대표는 이날 오전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과의 인터뷰에서 “국회에 정치적 대리인을 보내지 못하는 약대집단이라는 게 있다. 예를 들면 소상공인·자영업자 또 비정규직 노동자들, 청년세대, 농민들 4대 약대 집단인데 이분들은 정치적으로 철저하게 배제되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세계적으로 행복하고 사회가 투명한 나라치고 사표가 있는 나라가 없다. 다 연동형 비례대표제거나 순수 비례제”라며 “사표를 되살리는 제도만 만들어서 100% 국민이 다 자기 의사가 국회에 대표되도록 하면 그 약대 집단이 숫자가 많기 때문에 그분들의 대리인이 국회에 들어올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정 대표는 “문재인 대통령께서 지난번 시정연설 국회 예산안 제출하면서 ‘모든 사람들이 함께 잘사는 포용국가로 가자’ 그랬잖나. 포용국가가 구호가 아니라 이걸 현실로 만들어 내려면 이 선거제도 개혁은 오래된 염원”이라며 “대통령께 ‘적폐 연대가 웬 말입니까? 개혁 연대로 갑시다’ 하고 1인 팻말 시위를 하고 있는데, 문 대통령께서 오늘이라도 5당 대표 만나자고 하고 적폐 연대 대신 개혁 연대로 가야 성공하는 정부 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전날 야3당의 선거제 개혁 요구를 끝내 수용하지 않은 채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예산안 처리에 합의한 데 대해선 “예산안 처리가 되고 나면 개혁은 사실상 물 건너간다. 예산안은 다 되어 있으니까 예산안 되어 있는 거와 더불어서 야3당과 함께 처리하자는 요구였는데 그 손을 뿌리치고 한국당의 손을 잡은 것은 불행한 동거고 기득권 연대”라며 “결국 손해보는 것은 우리 사회의 힘없는 약대집단들이고 문 대통령의 포용국가 꿈을 당이 외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 대표는 “개혁의 길을 놔두고 어떻게 한국당의 예산안 요구를 들어주고 종부세를 개악하고 짬짜미해서 이렇게 밀실 야합 연대, 그래서 우리는 적폐 연대라고 하고 이렇게 가서 이 정부가 성공하겠는가”라며 “직선제 투쟁 이후 최대의 민주화운동인데 이걸 이런 식으로 걷어차는 것은 참 안타까운 일이다. 정개특위는 살아 있으니까 결국 국민이 나서야 한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