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는 농가 우유 일부에서 잔류허용기준치 이상의 항생제 발견되었다고 보도
소비자공익네트워크 "정부 부실 관리에 대한 문제점 드러나...전 과정에 대한 검사 결과 조속하고 투명하게 공개하라"
소비자공익네트워크 "정부 부실 관리에 대한 문제점 드러나...전 과정에 대한 검사 결과 조속하고 투명하게 공개하라"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소비자공익네트워크는 지난 20일 몇몇 농가의 우유에서 잔류허용 기준치 이상의 항생제가 발생됐다는 SBS보도와 관련해 “정부는 우유의 원유 생산부터 집유·가공·유통·최종 소비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검사 결과를 조속하고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21일 촉구했다.
앞서 SBS는 고기와 계란에 이어 우유도 금년부터 국가 잔류물질 검사 대상으로 포함시켜 지난 7월 첫 우유 잔류물질 오염 실태조사를 진행했는데, 농가 200곳의 원유를 대상으로 동물용 의약품, 농약, 환경 유해물질 등 67항목을 조사 결과, 5건의 잔류허용기준치 이상의 항생제가 발견되었다고 보도했다.
이에 소비자공익네트워크는 “우유는 영·유아시기부터 가장 많이 섭취하는 주요 식품이며 유치원·학교 등에서 단체급식으로 채택된 식품이기에 철저히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라며 “잔류 항생제가 포함된 우유를 반복해서 마실 경우 항생제 내성 부작용이 생길 우려가 큰 만큼 더욱 체계적인 안전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는 현재 문제가 된 원유제품을 유통 전 폐기처분했으며 현재 진행 중인 원유 잔류물질 조사사업이 완료되면 공개하겠다고 밝혔으나, 지금껏 간이 키트 및 자체 검사 방식 운영 등 부실 관리에 대한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소비자의 불안감은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