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선거제 개혁, 의원 수 늘어나는 건 반대…지역구 줄여야”
하태경 “선거제 개혁, 의원 수 늘어나는 건 반대…지역구 줄여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만약 합의 안 되면 의원 수 늘리더라도 국회의원 개개인에 들어가는 돈 줄어들어야”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이 발언하고 있는 모습. 사진 / 오훈 기자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이 발언하고 있는 모습. 사진 / 오훈 기자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하태경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이 26일 선거제 개혁과 관련해 “개인적으로 의원정수 늘어나는 건 반대고 지역구를 줄이는 게 맞다”고 입장을 내놨다.

하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YTN라디오 ‘김호성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우리 국민들이 국회의원 숫자 늘리는 것 좋아하는 사람 누가 있나”라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그는 독일식 연동형 비례제 적용 시 의원 수가 450명 이상 된다는 민주당 측 분석 결과와 관련해 “450명까지 늘어난다고요? 그런 건 하면 안 된다”며 “지금 최대한 10% 증원 정도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발 더 나아가 하 최고위원은 “그리고 선관위 안이 200:100안이었다. 지역구를 200명으로 하고 비례를 100명”이라며 “합의하기 위해 최대한 논의해야 하고 합의 안 되면 어쩔 수 없다. 합의가 안 되면 국회 총 예산을 넘어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만약에 의원정수를 늘리더라도, 그러니까 국회의원 개개인한테 들어가는 돈이 줄어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내년 지나면 올리는 것 아니냐, 이런 의심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한 20년 정도는 못 올리게 못을 박아놓는다든지, 이게 정국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며 “아니면 또 양당제로 가버린다. 그래서 각 당 지도부가 자당 국회의원들을 설득하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한편 하 최고위원은 유치원 3법 처리와 관련해선 “패스트트랙이 국회법을 지키는 그나마 빠른 길”이라며 “지난번 세월호 재조사하는 사회안전법도 패스트트랙으로 통과됐다. 사실 국회법을 어길 수가 없기 때문에 패스트트랙도 괜찮은 방법”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