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사후 매장문화에서 화장문화로 달라지고 있는 추세다.
21일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2017년도 화장률이 84.6%로 최종 집계돼 역대 최고치에 해당하고 있다.
이는 지난 1993년도 화장률 19.1%에 비해 약 4.4배 상승했고, 전년도 2016년 화장률 82.7%보다도 1.9%p 증가한 수치다.
세부적으로 성별 화장률은 남성 87.2%, 여성 81.6%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5.6%p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 사망자의 경우 97.7%가 화장하는 등 60대 미만의 화장률은 96.2%였고, 60대 이상의 화장률은 82.2%로 나타났다.
광역지방자치단체별 화장률에서는 부산이 93.0%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인천 92.4%, 울산 90.8%, 경남 90.5% 등 9개 시․도(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경남)가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률이 낮은 지역은 제주 69.4%, 충남 71.5%, 경북 74.8%, 충북 75.1% 등의 순이었고 수도권 지역의 화장률은 89.0%로 비수도권 지역(81.7%) 비해 7.3%p 높았다.
서울, 부산 등 8개 특별․광역시의 화장률도 89.1%로 수도권과 비슷했으며 그외 도(道) 지역은 81.7%로 비수도권 지역의 화장율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화장률이 높은 지역은 경북 울릉군으로 화장률이 98.6%였고, 경남 통영시 96.5%, 경남 사천시 96.2%, 경남 진주시 94.8% 등의 순으로 화장률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지난 해 말 기준 한국에는 총 59개소의 화장장에서 총 350개의 화장로를 보유하고 있다.
연간 최대 화장능력은 전국 58개 화장시설(개장유골 전용시설 제외)의 31만 4280건(1일 평균 873건)으로 2017년 사망자(28만 5534명) 중 화장한 사망자(24만 1665명, 1일 평균 671명)를 감안할 때 국내 화장시설은 부족하지 않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