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회 진행 기상항공기에 요오드화은 담아 살포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연이어 찾아오는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올해 인공강우 실험이 서해에서 진행된다.
23일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25일 서해상에서 기상항공기(킹에어 350)를 이용하여 발생된 인공강우가 미세먼지를 얼마나 저감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합동 실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기상청의 올해 첫 인공강우 실험은 환경부 미세먼지 관측과 병행해 진행할 예정으로, 국립기상과학원은 인공강우 물질을 살포한 뒤 구름과 강수 입자 변화를 관측하고, 국립환경과학원은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분석할 예정이다.
일단 올해 실험은 총 15회 진행될 예정으로 실험에는 항공기, 선박, 이동 관측 차량, 도시 대기 측정망 등 기상장비와 환경장비가 다양하게 활용된다.
우선 기상장비를 활용해 연직 기온, 습도, 바람 등의 기상 여건 및 미세먼지 상황을 분석한 뒤, 실험 장소를 찾아 기상항공기가 인공강우 물질(요오드화은)을 살포하면 국립기상과학원은 구름과 강수 입자 변화 사항을 관측하고 천리안 기상위성과 기상레이더를 활용해 인공강우 생성 효과를 분석한다.
기상관측선이 해안 지역과 해양 상공의 기상을 관측하고, 국립환경과학원은 해상의 기상관측선과 내륙의 도시대기측정소 등에서 인공강우 물질 살포 전부터 살포 후까지 대기의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연속적으로 관측한다.
일단 인공강우는 그동안 중국과 태국에서도 시도한 바 있지만 공식적인 성공 사례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은 상황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