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 의존했던 '민간항공기' 정비...앞으로 국내서 직접한다
해외에 의존했던 '민간항공기' 정비...앞으로 국내서 직접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서 항공기 정비 받는다…2026년까지 2만 일자리 창출
한국항공서비스 위치도 / ⓒ국토부
한국항공서비스 위치도 / ⓒ국토부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그동안 해외에 맡겨오던 항공기 정비를 이제 국내에서 직접 진행한다.

20일 국토부와 한국항공서비스(이하 KAEMS)는 첫 민간 항공기 정비입고 및 사업 착수 기념행사를 오는 21일 경남 사천 소재 KAEMS 사업장에서 개최한다.

앞서 KAEMS는 국토부의 사업계획 타당성 평가를 거쳐 지난 지난 2017년 12월 정부지원 항공 MRO 사업자로 선정된 KAI를 포함한 7개 기업이 자본금을 투자해 설립했으며 지난 1년여 간의 준비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이번에 사업을 착수하게 됐다.

특히 사업착수 전 국토교통부의 정비능력인증 심사 및 국내 LCC 항공사인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이 실시한 항공기 정비품질 심사결과 항공기를 정비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갖춘 것으로 확인됐다.

KAEMS는 이번 사업 착수를 계기로 국내 항공사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정비수주를 시작해 올해 안으로 국내 LCC 항공기(19대) 및 군용기 정비물량을 수주(약 90억 원 규모)할 계획이다.

더불어 미연방항공청의 항공기 수리사업장 인가를 취득하는 오는 7월부터 중국, 일본 국적의 항공기를 수주하는 등 해외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또 KAEMS의 사업부지를 중심으로 약 9.4만평 규모의 항공정비 중심의 산업단지가 오는 2022년까지 조성될 계획이며, 이를 토대로 2026년까지 일자리 2만여 개, 5.4조 원의 생산유발효과 창출이 예상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보미 2019-02-21 21:51:44
정비시간과 비용을 낮추면서 국내에서 안전하게 정비를 할 수 있는것은 한국공항 또는 제주항공의 회사입장이지만 실제 정비를 하는 것은 하청직원들인데 그 직원들만 저임금으로 개노동을 뜻하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