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금리 뛰어도 부담無 주택담보대출 출시…김병욱, “서민에게 시기적절”
시장금리 뛰어도 부담無 주택담보대출 출시…김병욱, “서민에게 시기적절”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월상환액 고정·상승폭 2%p 묶는 금리상한형 주택담보대출 도입
김병욱 원내부대표가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오훈 기자]
김병욱 원내부대표가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오훈 기자]

[시사포커스 / 박고은 기자] 시장금리가 뛰어도 대출금리 상승폭을 최대 2%포인트로 묶거나 월 상환액을 10년 동안 고정하는 신종 주택담보대출이 나오는 것과 관련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는 21일 “서민들에게 아주 시기적절한 제도로서 적극적으로 환영한다”고 밝혔다.

김 원내부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지난 20일 내놓은 ‘금리상승리스크 경감형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소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어제 금융위와 금감원이 두 가지 상품을 내놓았는데 첫 번째는 ‘월상환액 고정형 주택담보대출’”이라며 “대출금리가 변동하더라도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사람이 지급하는 월상환액을 향후 10년간 고정해서 유지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예를 들면 어떤 대출자의 월 상환액이 100만원인 경우, 그 구성이 원금 70만원·이자가 30만원이었는데 금리가 상승한다면 이자가 40만원으로 오르고 원금이 70만원이었기 때문에 110만원을 상환해야 한다”며 “주택담보대출자의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 그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이자가 상승했을 때 원금을 고정시켜서 월 상환액은 월 100만원을 지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원내부대표는 “나머지 원금은 10년 후 만기에 정산하도록 하는 제도가 바로 월상환액 고정형 주택담보대출”이라며 “두번째는 ‘금리상환형 주택담보대출’로 대출금리가 오르더라도 금리의 최대 상승폭을 향후 5년간, 2% 이내로 제한하는 제도다”라고 말했다.

김 원내부대표는 “가계부채의 증가속도는 줄어들고 있지만, 절대 금액은 계속 늘어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라며 “현재 1500조 이상이고 명목GDP의 96.9%를 차지하고 있고, 각종 데이터를 보면 연체율 또한 상승하고 있는 것이 현재 추세”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과거에 비해서 변동금리 비율이 줄고 있지만 아직도 대출자들의 금리를 보면 변동금리가 약 55%로 금리인상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현재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금리가 상승해서 변동대출금리가 오른다면 그 부담은 오롯이 서민들의 몫”이라고 진단했다.

김 원내부대표는 “대출금리 상승기에 월상환액을 경감하거나, 고정하거나 또는 대출금리 상승폭을 제한하는 주택담보상품을 내놓는 것은 우리 금융대출을 받은 서민들에게 아주 시기적절”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2종의 상품은 다음달 18일부터 15개 시중은행에서 판매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