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박고은 기자]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25일 ‘20대 청년 비하’ 논란으로 이어진 자당 의원들의 발언에 대해 고개를 숙였다.
홍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원내대표로서 유감과 함께 머리 숙여 사죄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그는 “20대 청년은 대한민국 미래를 책임질 주역들로 20대가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질 수 있어야 우리 사회도 희망 있는데 지금 20대는 구조화된 불평등과 미래에 대한 불확실에 짓눌려 있다”며 “20대 현실과 절망감에 대해 기성세대이자 정치인의 한사람으로서 안타깝고 미안한 마음”이라고 전했다.
홍 원내대표는 “바늘구멍보다 들어가기도 어려운 대기업, 공무원 등 공공부문 취직, 부모세대의 성취에 따라 인생 좌우되는 기회의 상실, 아무리 열심히 살아도 넘어설 수 없는 기득권의 세상에서 젊은이들이 절망하고 있다”며 “젊은 세대의 상상력과 활기를 짓누르는 상명하복의 문화에 숨막혀하고 있다. 이것이 20대 청년들의 근본적인 현실인식”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영국 이코노미스트가 보도한 기사를 소개하며 “최근 ‘밀레니얼 소셜리즘’이 새롭게 유행하고 있다고 한다”며 “미국에 사는 밀레니얼 세대의 51%가 사회주의를 지지한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어 “경제가 기득권을 가진 이들에 의해 통제력을 상실하고 불평등이 심화되면서 국민들이 격차 해소를 위해 소득과 권력의 재분배 갈망하고 있는 것”이라며 “우리 청년들이 느낄 절망감도 세계 다른 젊은이들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20대가 그리고 청춘이라는 말이 절망과 상실의 동의어가 돼서는 안된다. 20대와 청춘은 듣기만 해도 가슴 설레는 말이자 빛나는 이상과 희망을 꿈 꿀수 있는 특권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며 “당과 정부가 20대가 직면한 현실을 함께 공감하고 해결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설훈 민주당 최고위원은 폴리뉴스와의 인터뷰에서 20대 남성층의 여권 지지율 하락 배경에 대해 ‘전 보수정권 시절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말해 논란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