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가 18일 여야 4당이 패스트트랙에 올릴 선거제도 개혁안 단일안 초안 마련에 합의한 데 대해 “신속처리절차 1보 전에 왔다”고 호평했다.
최근 호남 지역구 감소 문제 때문에 연동형 비례대표제로 선거제 개혁하는 데 대해 일부 이견이 불거졌음에도 불구하고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 참석해 “선거제 개혁은 평화당의 창당정신”이라며 이 같은 입장을 내놨다.
그는 이어 “당은 지난 1년간 평화당은 당운을 걸다시피 하고 당 이해관계와 상관없이 총력을 기울여왔다. 선거제도 개혁이 막바지에 왔다”며 “절대 다수의 국민은 정치를 바꾸라고 개혁을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 대표는 “선거제 개편은 의원을 위한 제도가 아니고 국민의 삶을 위한 제도 개혁”이라며 “평화당이 선두에 서서 노력하지 않았다면 여전히 선거제 개혁은 물 밑에 잠겨있었을 것이다. 기득권 양당제 구조가 온건 다당제 구조로 넘어가는 결정적 순간”이라고 재차 의미를 부여했다.
다만 그는 이를 저지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자유한국당을 겨냥 “한국당이 걸림돌로 등장했고 반개혁 세력의 민낯을 보이고 있다. 토착왜구 세력의 모습”이라며 “왜구는 퇴치대상”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에 그치지 않고 정 대표는 “기득권 야당이 저항한다고 양당제를 다당제로 바꾸는 노력을 멈출 수 없다. 토착왜구가 21세기에 한복판을 헤집는 현실을 두고 못 본다”며 “사람을 바꾸는 게 정치가 바뀌는 게 아니라 제도를 바꿔야 한다. 우리 당의 의견을 잘 모아서 선거제 개혁의 본질을 알리고 평화당의 노력에 대한 평가를 받게 되길 기대한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