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로 청력 일시마비 '병역기피' 11명 무더기 적발
고위로 청력 일시마비 '병역기피' 11명 무더기 적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브로커 개입, 고의로 청력마비 시켜 장애인 등록 후 병역면제
사진은 기사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없는 참고용 이미지 / ⓒ뉴시스DB
사진은 기사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없는 참고용 이미지 / ⓒ뉴시스DB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군 입대를 기피하기 위해 고위로 청력을 마비시키는 수법을 쓴 11명이 적발됐다.

19일 병무청은 브로커가 개입해 고의로 청력을 마비시켜 병역법을 위반한 피의자 8명과 공범 3명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수사결과 이들은 병원주차장 승용차 안에서 자전거 경음기 또는 응원용 에어 혼을 귀에 대고 일정시간 노출시켜 청각을 마비시킨 뒤 장애진단서를 발급받아 장애인으로 등록 후 병역을 면제받았다.

브로커는 인터넷 동호회 회원, 동생친구 및 지인들에게 접근하여 병역면제 수법 전수를 조건으로 1인당 1천만 원에서 5천만 원을 받은 뒤 이 같은 도구를 전달하고 방법을 전수했다.

특히 이들 중에는 브로커에게 1천 5백만 원을 준 전 국가대표 사이클 선수와 5천만 원을 준 인터넷 TV 게임방송 BJ도 있었고 이들은 자신의 생활을 계속 하려고 이 같은 범행을 저질렀다.

더불어 병무청은 이번 수사를 계기로 의무기록지 등 과거력 유무를 확인하고, 중앙신체검사소 정밀 검사를 강화하여 일시적 청력마비 여부를 확인하는 방안을 도입하는 등 병역판정검사 시 청력검사시스템을 개선하기로 했다.

또 지난 2012년 특사경제도 도입 이후 브로커가 개입한 최초의 병역면탈 사례로서 2017년에 도입된 병무청 자체 디지털 포렌식 장비를 활용해 브로커와 피의자들 간의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병역면탈 범죄를 대거 적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었다.

한편 같은 날 병무청 특별사법경찰 관계자는 “이번에 적발한 사람들이 병역법 위반으로 유죄가 확정되면 형사처벌과 함께 다시 병역판정검사를 받고, 그 결과에 따라 병역의무를 이행해야 한다”며 “병역면탈자를 끝까지 추적해 병역의무를 부과함으로써 공정하고 정의로운 병역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