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 국내사업 영업익 1295억…해외사업 영업익 459억
아모레퍼시픽, 국내사업 영업익 1295억…해외사업 영업익 459억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모레퍼시픽 2019년 1분기 실적 발표
사진 / 아모레퍼시픽그룹
사진 / 아모레퍼시픽그룹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아모레퍼시픽은 럭셔리 브랜드의 성장과 해외 사업에서의 선전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 상승한 1조 4,513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하지만 면세와 온라인을 제외한 국내 채널의 전반적인 매출 감소로 지난해보다 21% 감소한 1,86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아모레퍼시픽 국내사업은 매출 9,407억원(-0%), 영업이익 1,295억원(-18%)을 기록했다.

럭셔리 브랜드(설화수, 헤라, 프리메라, 바이탈뷰티 등)는 설화수의 면세 채널 판매 확대가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 ‘설화수 진설 라인’과 ‘바이탈뷰티 메타그린’의 리뉴얼 및 ‘헤라 센슈얼 인텐스 립스틱’의 출시를 통해 브랜드별 핵심 카테고리를 집중적으로 육성했다. 또 설화수가 ‘설린 라인’의 디지털 팝업스토어를 운영하고, 헤라가 ‘레드바이브’ 캠페인을 전개하는 등 다양한 마케팅 활동에도 주력했다.

프리미엄 브랜드(아이오페, 라네즈, 마몽드 등)는 아리따움 채널 재정비로 인해 전체적인 매출 감소가 있었다. 그러나 ‘라네즈 실크 인텐스 립스틱’, ‘마몽드 크리미 틴트 컬러 밤’ 등 레드 바이브 컬러 립 제품의 출시와 판매 호조로 메이크업 카테고리의 매출은 확대됐다. 여기에 ‘아이오페 스템Ⅲ 앰플’, ‘라네즈 크림스킨 미스트’, ‘마몽드 레드 에너지 리커버리 세럼’ 등 혁신 신제품을 잇달아 출시하며 새로운 성장 기반도 마련했다.

데일리 뷰티 브랜드(려, 미쟝센, 해피바스 등)는 온라인 채널 추가 입점과 마케팅 강화로 디지털 매출은 증가했지만, 마트 등 오프라인 채널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전체 매출은 감소했다. ‘자양윤모’ 등 대표 제품의 판매 활성화로 려의 브랜드 매출이 성장했고, ‘해피바스 시암아로마 & 오떼르말 라인’과 ‘일리윤 프로바이오틱스 스킨 배리어 마스크’ 등 신제품 출시로 브랜드 매력도를 높였다.

오설록은 소용량 DIY 제품 및 가성비 위주의 티백 제품의 판매가 활성화되며 매출이 성장했다. 특히 디지털 마케팅을 강화한 온라인 채널에서 활성 고객 수가 증가하며 높은 매출 성장세를 보이기도 했다.

아울러 아모레퍼시픽 해외 사업은 매출 5,218억원(+4%), 영업이익 459억원(-44%)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 아모레퍼시픽의 해외 사업은 전반적인 매출 성장에도 불구하고 성장성 강화를 위한 투자 확대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아시아 사업은 5대 글로벌 브랜드 중심의 혁신 상품 출시와 매장 확장을 통해 전년 동기 대비 약 4% 성장한 4,978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설화수는 ‘설린 라인’을 새롭게 런칭하며 고객 저변을 확대했고, 중국과 아세안의 온∙오프라인 매장을 늘리며 글로벌 마케팅을 강화했다. 라네즈는 혁신적인 신제품 ‘크림 스킨’이 아세안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런칭하고, 호주와 인도, 필리핀 등 신규 시장에서도 선전하며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마몽드는 중국 내 백화점 채널을 축소하고 ‘왓슨스’ 등 멀티브랜드숍 입점을 확대하며 오프라인 비즈니스 체질을 개선하고 있다. 또 아세안 지역의 디지털 채널과 ‘쇼피’, ‘이브앤보이’ 등 멀티브랜드 채널에 추가로 입점하며 성장 동력 확보에 주력했다. 이니스프리는 ‘화이트 피오니 에센스’ 등 중국 현지 전용 제품을 출시하고, 중국과 아세안, 호주 등에서 오프라인 매장도 확대하는 등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했다. 에뛰드는 일본과 태국, 말레이시아에서 꾸준한 매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디지털 마케팅 강화 및 국가별 출점 전략 차별화를 통해 질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북미 사업은 스킨케어 브랜드 중심으로 기반을 강화하며 전년 동기 대비 약 19% 성장한 18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라네즈가 ‘세포라’ 입점 매장 수를 확대하고 마몽드가 ‘얼타’ 전 매장에 입점하며 고객 접점을 확대했다. 또 ‘아모레퍼시픽 유스 레볼루션 라인’, ‘라네즈 립글로이 밤’, ‘이니스프리 비비드 코튼 잉크’ 등 신제품 출시도 이어졌다. 유럽 사업은 지난해 구딸 파리 브랜드의 리뉴얼 출시의 기저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3%의 감소한 5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라네즈가 세포라를 통해 유럽 18개국에 동시 진출하며 유럽 스킨케어 시장 공략의 초석도 다졌다.

아울러 이니스프리는 매출 1,546억 원(-5%), 영업이익 211억 원(-36%)을 기록했다.

이니스프리는 국내 매출 하락과 마케팅 비용 확대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링클 사이언스 스팟 트리트먼트’, ‘제주 왕벚꽃 라인’ 등 기능성 신제품의 출시로 고효능 자연주의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강화했다. 젊은 층을 겨냥한 무인 매장 ‘셀프스토어’를 오픈하는 등 차별화된 쇼핑 경험도 제공했다.

에뛰드는 매출 501억 원(-23%), 적자가 확대됐다.

에뛰드는 로드숍과 면세 채널의 매출이 하락하며 적자폭이 확대됐다.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새로운 멤버십 제도인 ‘옴니 클럽’을 도입하고, ‘킷캣 콜라보 플레이 컬러 아이즈 미니 키트’, ‘유브이 더블 컷 선 쿠션’, ‘베러 립스톡’ 등 다양한 신제품을 출시하며 브랜드 매력도 제고에 힘썼다.

에스쁘아는 매출 115억 원(-7%), 흑자로 전환됐다.

에스쁘아는 로드숍 매장 수 감소의 영향으로 매출이 소폭 하락했으나, 아리따움 등 멀티브랜드숍 입점을 확대하며 브랜드 접근성을 강화했다. 또 나만의 컬러를 체험할 수 있는 ‘컬러풀 누드 팝업스토어’를 운영하는 등 메이크업 전문 브랜드로서의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선사했다.

에스트라는 매출 275억 원(-3%), 영업이익 28억 원(149%)을 기록했다.

에스트라는 필러 사업 양도로 인해 전체 매출이 조금 축소됐으나 수익성은 강화되었다. ‘아토베리어 365 미스트’를 새롭게 출시하며 제품 카테고리를 다변화했고, 아리따움 등 멀티브랜드숍을 통해 소비자 접점을 늘려가고 있다.

끝으로, 아모스프로페셔널는 매출 244억 원(-6%), 영업이익 56억 원(-26%)을 기록했다.

아모스프로페셔널은 유통 채널 조정의 영향으로 매출 및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식물 유래 성분의 ‘보타닉 캄 라인’을 새롭게 출시하며 헤어 전문 브랜드로서의 경쟁력을 강화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