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박고은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꽉 막힌 정국을 풀고 대북 식량지원 등을 논의 하기 위해 여야 지도부 회동을 제안했지만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이 ‘1대 1 회담’을 요구하고 있어 정국 교착상태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특히 황교안 한국당 대표는 11일 청와대가 1대 1 회담은 곤란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정당별로 일대일 (회담을) 하면 되지 않겠나”라고 밝혔다.
황 대표는 이날 대구 반야월시장에서 ‘땅콩죽퍼 무료급식’ 봉사활동을 마치고 기자들을 만나 “각 당별 일대일 회담은 어렵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황 대표는 전날에는 “정치 공학적으로 이 사람, 저 사람 껴서 회담을 하면 제대로 된 협의가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며 1대1 회담을 역제안 했다.
이에 대해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구두 논평을 통해 “1대 1 영수회담은 과거 권위주의 정권 시절로 돌아가는 것”이라며 “대통령이 여당을 쥐락펴락할 때나 가능한 얘기”라고 황 대표의 제안을 반박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과거 박근혜 대통령이 새누리당을 다루던 방식으로 자기 정당을 바라보고 있는 거 아닌가 싶다”며 “박근혜 정부 시절 여당과 문재인 정부의 민주당은 위상과 역할이 전혀 다르다”고 말했다.
바른미래당도 “한국당 황교안 대표는 1:1 영수회담 요구로 몽니 부릴게 아니라 조건 없이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종철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논평을 통해 “황 대표가 대접받는 것은 청와대나 대통령으로부터가 아니라 국민들로부터여야 한다”며 “제1야당은 국정 책임의 한 당사자로서 스스로 주인의식을 갖고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 대변인은 “정녕 홍준표 전 대표 흉내를 내다가 혼자만 소외되고 외톨이가 되는 상황을 초래하지 말기를 바란다”며 “민생과 개혁의 요구에 정치권이 행동으로 화답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북 식량 지원과 관련해서도 “비록 북한의 연이은 도발로 대북 식량 지원 문제가 난처한 상황에 처하기는 했으나, 동포의 굶주림을 외면할 수 없는 인도적 견지에서 계속 검토할 수는 있을 것”이라며 “북한 도발로 인한 안보 불안을 공유하고 안보 태세를 점검하는 것도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주평화당도 “황 대표는 조건 달지 말고 여야 영수회담에 응하라”라고 촉구했다.
박주현 민주평화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청와대의 여야 영수회담 제안에 대해 황 대표가 1:1 조건부 수락의사를 표시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며 “한국당이 국회 논의를 막아서 정국이 얽혔는데, 영수회담 기회마저 무산시키려는가”라고 비판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황 대표의 1:1 제의는 꽉 막힌 정국을 풀 수 있는 기회를 발로 걷어차는 것”이라며 “정치를 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맹비난 했다.
그러면서 “남북 문제, 경제 문제, 민생 문제 등 현안이 산적해 있다”며 “국민은 여야 각 정당의 대표들이 한 자리에 모여 머리를 맞대고 논의해 난마처럼 얽힌 정국을 풀기를 원한다. 황 대표는 조건 달지 말고 청와대의 영수회담 제안에 응하라”고 재차 요구했다.
정의당은 지난 10일 한국당을 향해 “거대정당의 정치횡포”라고 비판했다.
정호진 정의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을 통해 “114석 정당과 6석 정당을 똑같이 대우해서는 안 된다는 이유인데 옹졸함·차별과 배제로 무장한 제 1야당”이라며 “다수라는 이유로 소수의 의견을 배제하는 것은 민주주의에 맞지도 않거니와 협치를 위한 여야정 협의체 취지에도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정 대변인은 “덩치 값은 못하고 옹졸함은 차고 넘치니 한국당에 협치를 바라는 것은 역시 무리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며 “국회는 힘 자랑 하는 곳이 아니라, 민심을 담는 그릇”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9일 취임 2주년 특집 KBS 대담에서 “식량지원 문제, 남북 문제 등 국한해서 회동을 할 수 있다”며 “처리해야 할 민생 법안도 많이 있고, 추경도 논의해야 한다”면서 여야정 상설국정협의체 가동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