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현 대표의 단식 19일차인 26일 오후 4시 문재인 신임 청와대 비서실장이 청와대 분수대 앞 농성장을 방문했다.
청와대 비서실장 발령 이후 첫 인사자리였던 이날 방문에서는 문성현 대표와 문재인 비서실장은 막판 협상에 돌입한 한미 FTA 협정에 대한 이야기를 약 30분간 주고받았고, 한미 FTA에 대한 민주노동당과 정부측 입장의 시각차를 다시금 확인하는 자리였다.
문성현 대표는 이 자리에서 지난 22일 대통령에게 제안한 타결 전 끝장 토론이 "타결 후 토론하자"며 우회적으로 거절당한 데 대해 "타결된 이후의 모든 내용들은 이제 국회의 결정사항이 되는 문제이고 타결된 이후에는 어떠한 내용도 변경이 불가하다"며 타결 전 토론의 중요성을 재차 밝혔다.
또한 "협의 내용은 타결 전에 공개되어야 하며 그렇지 못하더라도 타결 이후의 정보는 미국과 동시에 공개되어야 한다"며 FTA 협상 내용 공개 시기가 미국과 동등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고 이에 대해 문재인 비서실장은 "공감 한다"고 밝혀 뜻을 함께했다.
그러나 문재인 비서실장은 협상 내용을 밝히고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반영해 협상을 진행하자는 민주노동당의 요구에 대해서는 "현실적으로 봤을 때 지금 협상중인 상태인데 앞으로 우리가 협상하고자 하는 방향이나 전략을 밝히고 논의를 하자고 한다면 협상에 불이익이 올 수도 있다"면서 "협상은 정부에 맡기고 협상 후 평가는 여러분이 하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 함께 배석했던 강기갑 의원은 "FTA는 실제 농업은 다 내어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농업을 두부 자르듯이 다 내어줬더라도 우리가 얻을 실익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재옥 최고위원은 "현재 통상절차법이 체결되지 않은 이 상황에서 국회 조차 FTA 내용을 잘 모르고 있다"면서 "통상 협상에서는 계획, 보고, 평가, 생산자와 관계자의 요구가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고 이해당사자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적법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며 통상절차법 제정 이후 FTA를 다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비서실장은 문성현 대표에게 "앞으로 열심히 토론할 시간이 있는데 건강을 조심해야 하지 않겠냐"며 단식농성을 풀기를 권유했고 문성현 대표는 "천정배, 김근태 의원도 단식하는데 단식 동맹을 만들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농 아닌 농을 던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