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오는 6월 7일 예정된 여신금융협회장 선거를 두고 사무금융노조가 관료 출신 낙하산 인사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이하 노조)은 28일 오전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 빌딩 앞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기자회견을 실시했다. 이들은 “협회를 망쳐온 관료들에게 또다시 협회를 내어줄 수 없다”는 주장을 펼쳤다.
여신금융협회는 96개 카드사, 리스·할부금융사, 신기술금융사 등 96곳을 회원사로 두고 있고 협회의 재원은 회원사들의 부담으로 운영된다. 회장후보추천위원회는 7개 카드사, 7개 캐피탈사 등 기존 이사회 이사 14명과 감사 1명 등 총 15명으로 구성돼있고 협회장 선거는 회원사들의 투표로 결정된다.
노조는 “지금까지 협회장은 대부분 관료 출신이었는데 최근 언론보도에 따르면 이번에도 차기 협회장 후보에 10명 중 관료출신이 무려 4명에 달한다고 한다”며 “후보에는 여신금융권에 한 번도 일해본 적 없는 인사도 있고 금융위, 금감원 출신도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4일 마감된 제12대 여신금융협회장 선출 공고에 총 10명이 지원서를 제출했다.
여기에는 김교식 전 여성가족부 차관, 최규연 전 저축은행중앙회 회장, 김주현 전 예금보험공사 사장, 이기연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임유 전 여신금융협회 상무, 고태순 전 NH캐피탈 사장, 이상진 전 IBK캐피탈 사장, 정해붕·정수진 전 하나카드 사장, 이명식 상명대 교수 등이 이름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관료 출신이 협회장으로 온다고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오히려 관료 출신 협회장이 여신금융협회를 금융위와 금감원의 2중대로 만들었을 뿐”이라며 “위기의 원인을 제공한 관료들이 이제 와서 그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협회장 선거를 나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 어느 때보다 여신금융업에 전문성이 있고 현 정부 정책의 부당함에 맞설 수 있는 인사가 협회장으로 선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차기 협회장은 카드수수료 관련 정부 정책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대응논리를 만들어야 한다면서 ▲입법기관과 유관 행정기관 설득 ▲카드지불결제시장이 영세 중소상공인들의 매출을 높이는 경제적 효과를 주고 있다는 홍보 활동 강화 ▲캐피탈업계 수익성 확보할 수 있도록 신성장동력 확보 등을 요구했다.
향후 노조는 청와대 앞 1인 시위, 국민청원 등 사무금융노동자들이 할 수 있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투쟁한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