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2’의 사사건건 힘겨루기
‘빅2’의 사사건건 힘겨루기
  • 이준기
  • 승인 2007.03.29 1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朴-李’ 여론조사 날선 공방 내막

박 “20%만 반영해야” 이 “4만명 고정해야”
홍 “이 측, 내용도 잘 모르면서 엉뚱한 주장”


민심을 우위에 두고 있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당심을 바탕으로 막판 총공세에 나선 박근혜 전 대표간의 공방이 갈수록 격해지고 있다.

그간 검증 공방, 경선 시기와 방식, 시·도당위원회 구성 등 각종사안마다 엇박자를 내며 기싸움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대선 후보경선 여론조사 방식을 둘러싸고 또 한번의 막판 공방이 이어지고 있어 이들의 분열이 초읽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

현재 양측이 가장 첨예한 대치하고 있는 쟁점은 ‘여론조사 반영률 문제’다. 국민 지지도가 당내 지지보다 더 높은 이 전 시장 측은 여론조사의 비중이 커질수록 유리하다고 생각하고, 당내 지지도에서 상대적으로 자신감을 보이고 있는 박 전 대표 측은 여론조사가 적게 반영될수록 승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빅2의 막판 여론조사 백병전, 그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 보자.

가장 쟁점은 우선 여론조사 방식에 있다. 한나라당은 이미 경선방식을 전체 선거인단 수를 20만 명으로, 방식은 대의원, 당원, 국민참여, 여론조사를 각각 2:3:3:2로 합의해 놓은 상태다.

여론조사 두고 ‘이전투구’
쟁점은 여론조사는 20%인 4만 명이 참여토록 돼있다는 것. 그러나 나머지 80%인 16만 명이 과연 현장에 나와 선거를 할지가 불명확하기 때문이다. 지난 5·31 지방선거 서울시장 경선에서도 40%만이 선거에 참여했다.

만약 나머지 선거인단(대의원, 당원, 국민참여) 16만 명중 50%인 8만 명이 투표에 임했을 경우, 여론조사도 50%인 2만 명만 조사하자는 것이 박 전 대표 측의 입장이다.

반면 이 전 시장측은 나머지 16만 명의 참여수와 무관하게 여론조사 4만 명을 무조건 참가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는 민심에서 앞서고 있는 이 전 시장의 의지와 당심을 조금이라도 더 반영토록하자는 박 전 대표 측의 입장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

그러나 이 전 시장이 주장하는 여론조사 ‘4만 명 고정’ 주장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 정치권의 중론이다. 만약 50%에 해당하는 8만 명이 선거인단으로 참여해 투표를 할 경우, 20%가 훨씬 넘는 33.3%로 치솟아 이 전 시장에게 극히 유리하게 경선이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당내 중립의원 모임인 ‘당이 중심되는 모임’은 지난 27일 빅2의 ‘여론조사’ 공방을 두고 박 전 대표 측의 손을 들어줬다. 또 지난해 현행 당헌·당규 제정을 이끌어냈던 홍준표 의원도 “박 전 대표 측의 주장이 맞다”며 힘을 실어줬다.

특히 홍 의원은 “이 전 시장 측 참모들이 내용을 잘 모르고 엉뚱한 주장을 하고 있다”며 “이 전 시장도 내용을 알면 당장 철회할 것”이라고 말해 손학규 전 지사의 빈자리를 채울 ‘제3후보’로서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물론 이 전 시장 측은 쉽게 물러서지 않는 형국이다. 이 전 시장 측 핵심 관계자는 이에 대해 “당심과 민심을 왜곡하는 그런 관례를 재논의하자는 것이 경선준비위원회의 합의안”이라며 “중심모임이 특정주자 편을 들고 있다”고 비난하고 나섰다.

어찌됐든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빅2가 분열해 두 사람 모두 출마를 예상하는 유권자는 50%에 달하고 있다. 이미 손 전 지사의 탈당으로 한나라당 경선이 위기에 임박했다는 것과 빅2 간의 분쟁이 계속되는 상황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일각에서는 양측은 이미 화해할 수 없는 루비콘 강을 건넜다고 보고 있다. 특히 빅2 줄서기에 나선 의원들은 자신들의 미래(2008·2012년 공천)가 걸려있기 때문에, 쉽게 승복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도 한몫하고 있다.

빅2 분열도 초읽기?
경선이 무난히 치러진다고 해도 탈락한 한명의 후보가 대승적인 차원에서 승자를 지원사격하기도 힘들다는 것이 정치권의 중론이다. 한나라당 빅2의 위태위태한 경선판. 그들의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