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근해어업 삼치-전갱이↑...붉은대게-꽃게↓
연근해어업 삼치-전갱이↑...붉은대게-꽃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멸치 4,753톤, 청어 3,119톤, 가자미류 1,980톤, 삼치 1,868톤
멸치털이 모습 / ⓒ뉴시스DB
멸치털이 모습 / ⓒ뉴시스DB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올해 4월 연근해에서 삼치, 전갱이, 멸치 등 포획이 늘었고 붉은대게 등이 자원상태 악화로 포획이 줄었다.

7일 통계청이 발표한 어업생산통계에 따르면, 올해 4월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4만 9천 톤으로 지난해 4월(4만 6천 톤)에 비해 7% 증가했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멸치 4,753톤, 청어 3,119톤, 가자미류 1,980톤, 삼치 1,868톤, 붉은대게 1,665톤, 갈치 1,178톤 등이다. 
 
주요 어종별 증감 추이를 살펴보면, 삼치(154%), 전갱이(76%), 멸치(48%) 등의 생산량이 전년보다 증가했고 가자미류, 청어는 전년 수준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반면 꽃게(49%), 고등어(70%), 갈치(49%), 붉은대게(28%)는 전년보다 생산량이 감소했다.

멸치는 남해 동부 연안에서 따뜻한 수온이 지속돼 산란을 위해 연안으로 몰려오는 어군이 증가하면서 정치망어업(경남)과 근해자망어업(부산)에서 어획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삼치 역시 최근 대마난류세력 강화로 제주 주변 및 남해 수온이 평년보다 높게 형성됨에 따라, 제주 서부어장에서의 어군밀도가 높게 유지되면서 대형쌍끌이저인망과 대형선망어업에서 어획량이 크게 증가했다.
 
반면 꽃게는 봄 어기 시작에도 불구하고 주요어장인 연평도•서해특정해역에서의 낮은 수온의 영향으로 어장형성이 부진하면서, 연근해자망어업(인천)과 근해안강망(충남)어업에서 어획량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여기 갈치, 붉은대게 등도 암컷에 대한 불법포획의 영향 등으로 최근 자원상태가 악화되면서 어획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경북과 강원지역의 근해통발어업에서 지난해에 비해 어획량이 감소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