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가 있는 개성적인 도시로
앞으로 건설되는 신도시 내 마을과 길 이름에 따딱한 한자어 대신 친근한 우리말이 사용된다.
건설교통부는 10일 화성, 판교 등 신도시의 마을, 길, 공원 등에 그 지역의 전통·역사·문화 및 도시의 특징을 상징할 수 있는 독특한 이름을 부여함으로써 현재 추진중인 신도시를 상징적인 테마(symbolic theme)가 있는 개성적인 도시로 개발하기로 하였다.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의 경우에도 부분적으로 한국땅이름학회, 한국부름회 등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마을, 공원이름 등을 정하였으나, 기존의 행정동명을 합성하여 새로운 행정구역의 명칭을 정하는 등 도시의 특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한 점이 있었고, 주민입주가 이루어진 후에 마을·길이름 등이 갖춰짐으로써 이에 대한 주민 인지도가 낮은 실정임을 감안하여
2기 신도시는 지명, 문화재, 소비자마케팅 등 관계전문가의 연구를 통해 마을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이름을 발굴하고, 신도시 자문위원회·포럼 등 전문가집단의 자문과 인터넷 토론방 등을 이용한 주민의견 수렴을 거쳐 당해 지자체와의 협의(지명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특히, 최초입주 전에 마을·길이름 등을 확정하여 표지판 등을 미리 설치하여 지명에 대한 주민의 인지도와 친밀도를 향상시킬 것이다.
우선 화성부터 명칭부여계획 수립에 착수하되, 판교·파주 등은 지구단위계획을 통해 이를 수립할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