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4일 재해·재난 대응과 관련해 “실질적인 대책을 만드는 게 정말 필요하고 재난 발생 시에는 복구와 지원 시스템 전반을 개선해야 하며 그 기준은 국민 중심”이라고 입장을 내놨다.
황 대표는 이날 한국당 재해대책위원회 임명장 수여식에 참석해 “문재인 정권은 안전한 대한민국을 약속하면서 출범했는데 이런 공약들이 무색할 정도로 재난, 재해가 끊이질 않고 있다. 국가의 가장 중요한 책무는 재해와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그는 “지금 포항지진이 발생한 지가 1년 반 되었는데 아직도 텐트에서 생활하는 분들이 있다고 한다. 최근엔 강원도 대형 산불로 큰 피해가 발생했으나 아직까지 복구와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많은 분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대통령이 두 번 왔다갔고, 총리가 세 번 왔다 가고 했는데 바뀌지 않는다’ 이런 얘기를 지난번에 갔을 때도 들었었다. 실질적 대안이 신속하게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게 복구지원에 있어 필요한 부분”이라고 역설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황 대표는 “정부의 의지와 역량이 부족한 측면도 있고 제도적 뒷받침이 잘 되지 않는 영역도 있으며 국민들의 안전 의식이 아직도 모자란 부분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안전 인프라와 제도, 예산, 이런 기본적인 부분부터 안전교육을 비롯한 의식 개선방안까지 폭넓은 검토가 필요하다. 이미 더 늦었기 때문에 시급한 과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그는 “이 정권 들어서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로 29명이나 사망했는데도 겨우 한 달도 지나지 않아서 또 밀양 세종병원에 대형화재가 발생했다. 이때 39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도 있었다”며 “적어도 같은 형태의 재난이 반복되지 않도록 기존 재난에서 큰 교훈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가 관심을 기울이고 정성을 들이면 재발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 발 더 나아가 황 대표는 “마지막으로 재해가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러려면 보다 발전적인 복구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단순히 복구하는데 그치지 않고, 더 발전적인 리빌딩을 이뤄낸다면 지역이 새롭게 발전하는 도약의 계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포항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지역의 경우를 예를 든다면 아예 이를 계기로 해서 도시 재생, 도시를 재건해 나간다면 모두에게 큰 위기가 기회가 될 것이다. 여야를 가리지 않고, 정치권 모두도 함께 노력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