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아키텍처 중심 3개 부문으로 연구개발 조직 개편
현대차그룹, 아키텍처 중심 3개 부문으로 연구개발 조직 개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품통합개발담당, 시스템부문, PM담당 삼각형 구조
연구개발본부 조직개편 개요 ⓒ 현대자동차그룹
연구개발본부 조직개편 개요 ⓒ 현대자동차그룹

[시사포커스 / 강기성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의 연구개발(R&D) 조직이 △제품통합개발담당 △시스템부문 △PM담당의 삼각형 구조로 바뀐다. 디자인담당과 상용담당은 별도 조직으로 편입된다.

9일 현대차그룹은 프로젝트 매니지먼트(PM)·설계·전자·차량성능 파워트레인(PT) 등 5개 담당의 병렬 구조였던 연구개발본부의 조직체계를 이 같이 개편한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부터 ‘아키텍처 기반 시스템 조직(SBO)’ 체계 개편을 준비해 왔다면서 새로운 조직은 차량의 기본 골격을 의미하는 아키텍처를 중심으로 ‘제품통합개발담당’은 자동차 콘셉트를 개발하고, ‘시스템부문’은 주요 개별 기술을, ‘PM담당’은 앞선 두 부문과 협업해 자동차를 최종 완성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제품통합개발담당에는 차량 뼈대가 되는 아키텍처 개발 및 밑그림을 그리는 ‘차량아키텍처개발센터’와 개발 최종단계에서 NVH, 안전, 내구, 에어로다이내믹 등 성능 개발을 지휘히는 '차량성능개발센터'가 들어선다.

독립적 요소인 △섀시(현가, 조향, 제동) △바디(차체, 내외장) △전자 △파워트레인 총 4개 담당 체계로 구성되는 ‘시스템 부문’은 분산돼 있던 설계/해석/시험 부문을 통합한 ‘완성형 개발 조직’으로 구성되며 각기 독립성도 끌어올린다. 또 부품의 모듈화·표준화 기준을 정립해 시스템부문에서 개발된 신기술이 빠르게 정립될 수 있도록 구매부터 생산, 협력사까지 이어지는 협업 구조를 다져간다는 계획이다.

앞서 두 파트에서 나온 결과물을 가지고 차급과 브랜드별로 최적화해 상호 간섭을 막고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는 ‘PM담당’은 ‘혼합구조(제네시스, EV고성능, 소형, 중대형, RV)’에서 전 브랜드를 아우르는 ‘차급구조’ (경형, 소형, 준중형, 중형, 대형 센터)’로 개편됐다고 현대차는 덧붙였다. 또 기존에 분리돼 있던 ‘사용성 평가’기능을 배치해 고객의 입장에서 항시 점검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 밖에도 자율주행 기술 분야 등에서 실물 제작과 주행 시험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여 개발속도를 높이고 품질 안정화에 기여하게 된다. 제품통합개발담당 산하에 는 버추얼차량개발실을 신설했다. 이와 함께 자율주행, 전동화, 인포테인먼트 분야 역시 지속적으로 R&D 역량을 강화해 미래 모빌리티 경쟁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알버트 비어만 연구개발본부 사장은 “이번 R&D 조직 구조 개편으로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고객 요구에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연구개발 환경과 협업 방식의 변화를 통해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는 미래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