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계 SBI·OSB·JT친애·JT저축은행 국내 저축은행 수입 18.5% 차지...무려 11조원 규모
일본계 SBI·OSB·JT친애·JT저축은행 국내 저축은행 수입 18.5% 차지...무려 11조원 규모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BI 등 일본계 저축은행 4곳, 국내 79개 저축은행 중 18.5% 수입 비중
일본 불매운동 여파...금융권 보복 가능성에 금융당국 ‘예의주시’
지난 1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 가운데 대주주가 일본계인 ‘일본계 자본’으로 분류되는 곳은 SBI·OSB·JT친애·JT 저축은행으로 대출규모는 올해 3월 말 기준 11조 493억 원으로 집계됐다. ⓒ시사포커스DB
지난 1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 가운데 대주주가 일본계인 ‘일본계 자본’으로 분류되는 곳은 SBI·OSB·JT친애·JT 저축은행으로 대출규모는 올해 3월 말 기준 11조 493억 원으로 집계됐다.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김은지 기자] 일본계 저축은행이 국내 저축은행 대출 잔액 비중에서 18.5%를 차지해 무려 11조 원대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 가운데 대주주가 일본계인 ‘일본계 자본’으로 분류되는 곳은 SBI·OSB·JT친애·JT 저축은행으로 대출규모는 올해 3월 말 기준 11조 493억 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저축은행 대출 잔액인 59조5986억 원에서 18.5%의 비중을 차지해 결코 작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SBI저축은행의 경우 대출 잔액이 6조3728억 원으로 업계 1위를 기록했다. 이어 JT친애(1조8,437억 원), OSB(1조8,071억 원)순으로 잔액이 높았으며 각각 잔액 기준 8, 9위를 차지해 대형 저축은행에 속한다.

은행·보험·금융투자업계 등과 비교할 때 저축은행과 대부업체 등의 소위 ‘중소서민금융’은 일본계 자본의 비중이 최대 40%에 달해 높은 비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최근 일본 불매운동에 대한 일본의 경제보복이 금융권으로 확산될 경우 영세 자영업자와 저신용자 등 취약 계층이 직격타를 받을 수 있어 금융당국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당국은 일본의 금융권 경제보복이 현실화 가능성이 낮다고 말하면서도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입장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