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괴롭히는 ‘춘곤증’ 탈출 노하우
직장인 괴롭히는 ‘춘곤증’ 탈출 노하우
  • 유재영
  • 승인 2007.04.27 21: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봄, 나른함과 피곤함을 이기지 못하고 꾸벅꾸벅 고개를 숙이는 직장인들의 ‘춘곤증’ 탈출법을 알아보자.

한의학에서는 춘곤증을 이해하려면 대자연의 원리를 먼저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겨울에 땅이 얼었다 풀리는 것처럼 사람의 몸도 겨울동안 수축됐다가 봄이 되면 풀리는데 이때 피부 속에 축적됐던 노폐물이 몸 밖으로 배출되기 위해서 에너지가 필요한데 몸이 여기에 에너지를 사용하다 보니, 혈액 순환과 소화기능이 약해져 자연히 졸리고 나른한 것이다.

봄이 돼 몸 밖으로 나쁜 기운을 내보내기 위해서 기가 쏠리게 되면 자연히 다른 부분은 기가 부족해져서 몸의 균형이 맞지 않게 되고 피로를 느끼게 되는 것.

병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자연스런 현상에 가까운 춘곤증은 자연적으로 얼마든지 해소할 수 있다.

춘곤증 해결에 좋은 봄나물은 달래, 두릅, 씀바귀, 원추리 등이다. 달래는 성질이 따듯한 식물로 비타민C가 많아 춘곤증에는 특효다. 그러나 몸에 열이 많은 사람에게는 잘 맞지 않다. 두릅은 머리를 맑게 해 주고 숙면도 취할 수 있도록 돕는 음식이다. 두릅의 쓴 맛은 혈액순환을 도와주기도 한다. 원추리는 몸을 가볍게 해 주고 눈을 맑게 해 주는 음식이다. 씀바귀는 달래와 달리 성질이 찬 음식이다. 그러므로 몸의 열기를 낮추어 주며 심신을 안정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소화 기능을 돕기 때문에 춘곤증에도 좋다. 이 외에도 냉이, 머위 같은 봄나물들로 요리를 해 먹으면 춘곤증 해결에 도움이 된다.

인애한의원(www.inaemedi.com) 정소영 원장은 “먼저는 봄나물이나 보양식 등으로 춘곤증을 해결해 보는 것이 좋다”고 권한다. 그러나 이런 것으로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한약 처방과 같은 적극적인 방법을 사용하라고 말한다.

정 원장은 “춘곤증은 한의학적으로 기허, 양허에 해당하고, 부족한 에너지, 기운을 보충해 주는 약재, 보기, 보양해 주는 약재들을 사용해서 치료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진단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