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조국 전 법무부장관 사퇴 이후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18일 39%를 기록해 취임 후 처음 30%대로 떨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15~17일 전국 성인 1004명에게 10월 3주차 문 대통령 직무수행평가를 조사한 결과, 긍정평가는 지난주보다 4%P 하락한 반면 부정평가는 2%P 상승하며 취임 후 최고치였던 지난 9월 3째 주 당시와 같은 53%로 나타났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81%, 정의당 지지층의 66%가 문 대통령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나 자유한국당 지지층에선 96%, 바른미래당 지지층에선 85%가 부정적 견해를 표했을 만큼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는데, 다만 무당층에서도 긍정평가는 19%에 불과한 반면 부정평가는 60%일 만큼 부정적 평가가 압도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문 대통령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들은 조 전 장관의 사퇴 때문인지 이제 부정평가 이유로 인사문제가 아니라 다시 경제·민생 해결 부족(25%)을 1순위로 꼽았는데, 보수층 지지율의 경우 17%에서 13%로 하락해 조 전 장관의 사퇴는 대통령 지지율을 반등시키는 데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 하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건 그동안 거의 변동 없었던 조 전 장관에 대한 비판적 계층보다는 정작 조 전 장관 사퇴에 실망한 현 정권 지지층의 이탈이었는데, 60%였던 30대가 46%로, 70%였던 진보층에선 68%로, 76%였던 광주·전라지역에선 67%로 지지율이 하락했으며 심지어 중도층에서도 46%에서 36%로 10%P나 급락했다.
한편 정당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 36%, 자유한국당 27%, 바른미래당 7%, 정의당 6%, 민주평화당과 우리공화당이 각각 1%, 무당층은 23%로 집계됐으며 민주당과 정의당은 전주 대비 1%P 하락한 반면 바른미래당은 2%P 상승했고 한국당은 이전과 동일했다,
또 조 전 장관의 사퇴에 대해선 64%가 잘된 일이라고 답했으며 26%만 잘못된 일이라고 답했고, 10%가 의견을 유보했는데, 조 전 장관 사퇴를 잘된 일이라 답한 사람들은 그 이유로 도덕성 부족, 편법·비리 많음(23%)을 가장 많이 꼽았고 잘못된 일이라 답한 사람들은 검찰개혁 완수 못함(3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번 조사는 전화조사원 인터뷰 형식을 통해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3.1%P이며 응답률은 16%이고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