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9일 강 대표가 꺼내든 경선규칙 중재안은 이명박,박근혜 두 주자 중 어느 쪽에 유리할까? 일단 일반국민 투표율의 하한선(67%)을 보장해 여론조사 반영비율을 높인다는 점에서 '민심'의 추가반영 방법을 요구해왔던 이 전 시장측에 유리해보인다.
■ 여론조사 반영 비율 증가
이명박에 유리할 듯
당 지도부가 시뮬레이션에 적용한 대의원(80%)·당원(70%)·일반국민(50%)의 예상투표율로 환산해도 여론조사 유효투표 수는 7천80표 늘어난다.'당심(대의원+당원)'과 '민심(일반국민+여론조사)'의 반영비율이 기존안에서는 56.9%대 43.1%이지만 중재안을 따르면 55.8%대 44.2%로 민심 반영비율이 소폭 증가하는 것이다.
여기에 20%포인트 격차인 두 사람의 현재 지지율 격차를 기준으로 이 전 시장의 지지율을 60%대,박 전 대표 지지율을 40%로 놓고 여론조사 반영에 따른 득표율 차이를 비교해보면 이 전 시장이 박 전 대표에 6천566표가 앞서게 된다. 기존 안대로라면 이 전 시장이 5천200표 앞선다. '민심'에서 이 전 시장이 혜택을 입을 것이 확실해보인다.
그러나 전체선거인단 수도 20만명에서 유권자 총수의 0.5%인 23만1천652명으로 늘어난 것은 박 전 대표측에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당심(대의원+당원)'과 '민심(일반국민+여론조사)' 모두 11만5천826명으로 늘지만, 관례에 비춰 '당심'의 투표율이 더 높기 때문이다.
강 대표가 1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여론조사를 반영하는 비율에 있어서 국민참여 수준을 다소 업그레이드 시킨 것"이라며 "시뮬레이션 결과 선거인단 23만여명 중에 500표도 차이가 안났다"고 말한 것도 이같은 분석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당 지도부의 시뮬레이션 설계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일반국민의 예상투표율을 50%대로 잡은 것이 현실적으로 맞지 않다는 것이다.
지난해 지방선거 당시 일반국민 투표율은 20%대에 불과했었다. 투표소를 많이 확대해 투표율이 기존보다 다소 높아진다고 해도 50%대까지 갈 지는 미지수다. 만약 8월 경선에서 일반국민 투표율이 이전과 같이 30%대에 그친다면 중재안에 따른 이 전 시장의 혜택은 더 커지게 된다.
그러나 이런 예측은 말 그대로 ‘가정’일 뿐이다. 당 내부에서도 일반 국민 투표율을 놓고 갖가지 예상이 뒤섞이고 있다. 이른바 ‘박근혜=당심’, ‘이명박=민심’이란 공식도 마찬가지이다. 비당원인 일반국민투표의 경우, 투표일 전에 투표 참가자 명단이 양쪽에 공개돼 당원협의회장(옛 지구당위원장) 등의 노력에 따라 당심의 영향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 많다.
여론조사 지지도가 높은 후보라고 무조건 일반국민투표에서 높게 나올 것으로 단정하기 힘들다. 하루에 치러지는 전국 동시투표 문제도 변수가 될 수 있다. ‘바람’을 일으키며 반전을 시도할 수 있는 전국 순회경선보다는 이미 고착된 선호도에 따라 선택이 좌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