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옥 “공수처장 임명, 국회 인준 절차 없어…철저한 대통령 직속기관”
정태옥 “공수처장 임명, 국회 인준 절차 없어…철저한 대통령 직속기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수처, 3권 분립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기관이라 위헌”
정태옥 자유한국당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포토포커스DB
정태옥 자유한국당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포토포커스DB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정태옥 자유한국당 의원이 31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대해 “공수처장 임명은 100% 대통령 지명제하고 완전히 같아 철저하게 대통령 직속 권력기관”이라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이날 오전 KBS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여당이 1명 추천하고 야당이 1명 하고 그중에 야당 추천한 사람들은 임명 안 해버리고 여당 추천한 사람 임명하고 형식적인 국회 청문 절차 하루 정도 국회에서 공방하다가 임명해버리고 나면 여기에 대해 국회 동의 절차, 인준 절차가 아예 없다. 야당에서 비토권 같은 게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고위공직자의 수사 비리를 못하게 하고 이 권력에 밉보이고 있는 야당이나 권력을 잃은 사람이나 미운 사람에 대해서 그리고 또 자기들의 입맛에 맞지 않은 판사나 검사나 헌법재판관에 대해서 집요한 수사가 가능한 가공할 국가기관이 되었다는 점에서 오히려 고위공직자 수사가 아니라 고위공직자의 비리를 막아주는 역할을 방패 역할을 할 것”이라며 “검찰보다 더 훨씬 나쁜 더 강한 더 무소불위의 그런 권력기관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이것은 철저히 잘못된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정 의원은 “지금 검찰이 엄청난 권력을 갖고 있다는 내용의 핵심은 수사권과 기소권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는 건데 이 공수처도 똑같이 수사권과 기소권을 갖고 있다”며 “검찰과 경찰과 판사들이 청와대가 원하지 않는 방법으로 수사하거나 재판하거나 영장이 발부될 때 언제든지 그 사람들을 (공수처가) 감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무소불위”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고위공직자들 나쁜 짓하는 것 수사하니까 좋지 않으냐 는데 그 나쁜 짓은 주로 뇌물죄 이런 것을 이야기하지만 실제로 공수처법이 수사할 수 있는 것은 이런 것뿐만 아니라 공무원의 부작위, 작위, 직권남용, 비밀누설, 선거법 이런 것조차도 다 수사할 수 있도록 하는 거다. 그냥 감찰을 하겠다는 것”이라며 “(공수처 검사가) 25명밖에 되지 않지만 그 사람들이 상시 판·검사만을 바라봤을 때 그게 가공할 위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한 발 더 나아가 정 의원은 공수처에 대해 헌법소원을 내려는 이유와 관련해선 “헌법 12조에 보면 검사가 청구하는 영장을 판사가 발부한다. 그 검사는, 1980년 헌법을 만들 때 의미는 검찰청법에 의해서 임명받는 검찰청장의 지휘를 받는 검사인데 지금은 그런 검사가 아닌 것”이라고 설명한 데 이어 “사회적인 신분이 고위공무원이라는 이유로 수사기관을 달리하고 법적용이 달리해질 가능성이 있는 것은 평등법에 어긋난다. 그리고 우리 헌법의 3권 분립 정신에 있어서 이것은 3권 중에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기관이라 위헌”이라고 역설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