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남부 / 윤현민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4.15 총선 경기 평택을 전략공천 후폭풍이 심상찮다. 정치권 일각에선 해당 기초단체장의 정치적 무사안일을 지적하는 원성이 나온다.
중앙당 의견청취 과정에서 지역실정을 반영한 경선의견 개진에 미온적이었다는 주장이다. 당장 지역 연고의 야당 경쟁후보 쪽으로 표심을 바꾸겠다는 여권 지지자도 일부 포착된다.
더불어민주당은 2일 김현정 전 전국사무금융노동조합연맹 위원장의 경기 평택을 전략공천을 확정해 발표했다.
또 박성준 전 JTBC 아나운서팀장은 서울 중구성동을에 전략공천 했으며, 전략지역이던 충남 천안병은 경선지로 전환했다.
이 지역 예비후보자들로 승산이 있다고 보고 내부 경쟁을 통한 공천으로 당초 방침을 바꿨다.
이날 도종환 전략공천관리위원장은 최고위 뒤 브리핑에서 "김 전 위원장은 청년 일자리, 고용안정 개선으로 사회 불평등과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사회적 연대를 통해 노동문제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중앙당의 전략공천 후보 확정 소식에 지역 정치권은 아연실색한 모습이다. 특히 집권당 승리를 위한 해당 기초단체장의 정치적 역할에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 지역의 한 예비후보 캠프 관계자 A씨는 "중앙당이 평택을을 전략지구로 결정할 때는 당연히 해당 기초단체장의 의견을 물어 판단 했을 것"이라며, "시장이 당원으로서 최소한의 역할이라도 했다면 지역 기반도 전혀 없는 후보가 경선 없이 낙하산 공천되는 일은 없었을 것"라고 했다.
또 다른 예비후보 캠프 관계자 B씨도 "뜬금없는 낙하산 공천으로 우리 지역에서 여야 당색을 고려한 선택은 더 이상 의미 없어졌다"며 "(미래통합당) 유의동 국회의원이 야당 후보지만 재선인데다 지역연고까지 있어 집권당 지지의사를 철회할 수도 있다"고 했다.
이에 정장선 평택시장 측은 중앙당의 정치적 행위에 선을 긋고 말을 아꼈다.
시 비서실 관계자는 "기초단체장의 정치적 발언은 적절치 않다"며 "관련사안에는 대응하지 않는 게 원칙"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