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혁규 vs 이명박 ‘위장전입’ 논란 가열
12일 김혁규 열린우리당 의원은 이명박 후보에 대해 위장전입 의혹을 제기했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부인인 김윤옥씨가 강남에서만 15번의 전입을 했다는 점을 들어 부동산 투기가 아니냐는 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됐다.
김혁규 의원은 “이 전 시장의 부인 김씨가 대부분 강남구에서 15차례나 주소를 바꾼 사실을 확인했다”며 “국민의 정부 시절에 2∼3차례 위장 전입한 사실만 갖고도 한나라당이 부동산 투기 의혹을 제기해 국무총리 인준 절차를 부결한 사례가 있다. 대통령이 되겠다는 사람에 대해서는 더 높은 도덕성이 요구된다”고 이 전 시장을 몰아세웠다.
김종률 의원도 입수자료를 토대로 “79∼80년 5개월 만에 이사했으며 81∼82년 6개월, 84∼85년 7개월, 90∼91년 10개월, 96년 3개월, 97∼98년 1년 2개월 만에 각각 이사했다”면서 “이런 상황인데 실거주 목적의 가족단위 이사로 볼 수 있느냐”고 물었다.
{사진1}이에 이 전 시장측 장광근 대변인은 “전혀 사실무근이다. 특히 가증스러운 것은 주민등록 변경이 수십년에 걸쳐 가족 단위로 이뤄졌으나 마치 김윤옥 단독으로 강남에서 10여 차례에 부동산투기 목적으로 이뤄진 것처럼 왜곡했다”고 반발했다.
박형준 대변인도 “이 후보가 1969년부터 39년 동안 25차례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이전했지만 부동산 투기와 관련된 주소이전은 단 한 차례도 없었다”고 해명했다. 그리고 김혁규 의원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는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 법적 책임을 물어 강력 대처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명박 전 시장도 “멀쩡하던 사람이 갑자기 변해 헛소리하는 것을 보고 세상인심이 이런 것인가 생각하고 있다”고 김혁규 전 경남지사를 비난했다. 이어 “국민의 지지를 받는 후보를 어떻게라도 끌어내리기 위해 세상이 미쳐 날뛰고 있다”며 본격적인 날 세우기에 들어갔다.
김혁규 의원과 이명박 전 시장의 대립은 13일 김 의원이 추가 기자회견을 열고 “이 전 시장의 처남도 전출입을 반복했다”며 주민등록 등·초본의 공개를 요구하면서 더 격해졌다.
김 의원은 13일 국회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부인과 처남 김씨가 일반인으로서는 납득 못할 잦은 전출입을 했다는 제보를 받았는데 그 내용이 사실인지, 내용이 사실이라면 왜 그토록 전출입을 반복했는지 이유를 국민에게 밝혀달라”고 말했다.
그는 “대선 후보의 주민등록이 무슨 큰 국가기밀이냐. 주민등록 등본과 초본만 공개하면 모든 것이 깨끗이 끝난다”며 “부인의 잦은 전출입이 진짜 주거를 위해 오간 것이라면 (내가) 법적·정치적 책임을 지겠지만, 거짓이라면 이 전 시장도 책임을 져야한다”고 이 전 시장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이어 “박형준 대변인이 주거 목적으로 온 가족으로 함께 다녔다고 하는데, 당시 이 전 시장은 현대건설 사장이었다”면서 “그런 사람이 월세돈을 못 내서도 아닐 텐데, 20년간 15회 이사 다닌 것을 믿을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의원측 김종률 의원은 “이 전 시장 처남은 비슷한 시기에 강남을 중심으로 전출입이 많았는데 (이 전 시장의) 부인보다 과하면 과했지, 덜하지 않았다”면서 “이런 상황은 이 전 시장의 맏형 상은씨도 마찬가지”라고 김 의원의 말에 힘을 실었다.
김 의원은 그러나 이 전 시장이 이야기하는 ‘투기 의혹 제기’에 대해서는 “투기 의혹이라고 주장한 적은 없다”고 단호히 선을 그었다.
이에 이명박 전 시장은 “어제 김혁규란 사람이 이명박이 15번 부동산 투기 의혹이 있다고 밝혔다”며 “고발하겠다고 했더니만 부동산 투기했다고 말한 적이 없다고 한다”고 김 의원을 맹비난 했다.
이 전 시장측 박형준 대변인도 온 언론에 부동산 투기 의혹이 있는 것처럼 도배시켜 놓고 오늘 와서 투기 의혹을 제기한 적이 없다고 하는 것은 전형적인 치고 빠지기”라고 비판했다.
박 대변인은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이 전 시장은 47년간 단 한 번도 부동산 투기를 한 적이 없다”면서 “김 의원은 자신이 자료를 확보하지 않고 제보를 받았을 뿐이라고 했는데 확보한 자료가 무엇인지, 어떻게 입수했는지 등을 명확히 밝히라”고 촉구했다.
김대은 당 부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자료를 공개한다고 해놓고 기자회견에서 빈손으로 입만 갖고 나타나 자기가 공개하지 않아도 국민이 공개할 것이라고 물러선 것은 자신의 말이 허위사실이라는 것을 입증한 것”이라며 “이명박 후보를 죽이기 위해 허위로 유포한 부동산 투기의혹은 명백한 선거법 위반이자 명예훼손죄에 해당됨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전 시장측은 김 의원에 대한 고발장을 작성했으며, 이날 김 의원이 ‘투기의혹을 제기한 적이 없다’고 한 부분에 대한 추가 법률검토를 진행 중이다.
잇따른 의혹제기 ‘앗뜨거’
아직 박근혜 전 대표와의 줄다리기가 끝나지 않은 시점에서 터져 나오는 각종 의혹에 대해 이 전 시장은 ‘청와대의 개입’ ‘1등을 죽이기 위한 계획’이라며 대응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이제 ‘죽기 아니면 살기’로 신경을 곤두세우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정계에서는 그의 이러한 태도에 대해 상반된 의견을 내놓고 있다. 한편으로는 “통쾌하다. 이제 적극적으로 나서서 힘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하는 반면 한쪽에서는 “각종 공세에 그가 말려들고 있다”며 우려를 표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한 정계인사는 그의 “절대 아니다”라는 말에 대해 “이 상황은 그런 식으로 헤쳐 나가서는 안 된다. 밝힐 것이 있으면 떳떳이 밝히고 사죄하는 편이 제 2의 이회창이 되지 않는 길이다. 앞으로도 이명박 후보에 대한 많은 의혹이 나올 텐데 날 세우기만 계속 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라고 지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