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목일·한식 '주말'...건조주의보·강풍특보 '대형산불' 우려
식목일·한식 '주말'...건조주의보·강풍특보 '대형산불' 우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풍에 의한 산불 확산속도 최대 78배 빨라져...도깨비불 현상 가능성 커
화마가 휩쓴 한 야산의 모습 / ⓒ산림청
화마가 휩쓴 한 야산의 모습 / ⓒ산림청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식목일, 청명•한식이 이어지는 이번 주말은 건조주의보와 강풍특보가 내려질 것으로 예상돼 대형산불이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4일 기상청과 산림청 등에 따르면 산불확산에 바람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평풍동실험장치’ 및 ‘비화 생성 장치’를 개발해 실험한 결과, 강풍에 의해 산불의 확산속도가 최대 78배까지 빨라질 수 있으며, 불똥이 날아가 산불이 다른 곳에 옮겨 붙는 비화 이른바 ‘도깨비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000년 동해안, 2005년 양양, 2019년 고성•강릉 산불 등 피해면적이 넓은 대형 산불은 대부분 건조한 날씨와 강하게 부는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빠르게 확산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지난해 발생했던 고성•강릉 산불 당시, 순간 최대풍속은 ‘나무가 뽑힐 정도’인 초속 35.6m/s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산림과학원의 ‘수평풍동실험장치’ 실험결과, 무풍•무경사 조건에서의 발화된 불은 분당 약 0.19m의 느린 속도로 이동했으나, 풍속 6m/s 및 경사 30° 조건에서 불의 이동속도는 분당 최대 15m로, 약 78배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화 생성 장치’를 통해 불똥을 생성하여 날리는 실험에서 풍속 5m/s의 바람이 불 때 불씨가 7∼8m가량 날아가 떨어진 곳에도 불이 옮겨붙는 것이 확인됐다.

강풍에 의해 산불확산이 빨라지게 되면 불이 나무의 가지나 잎이 무성한 부분으로 옮겨붙는 수관화로 이어지게 되며, 이는 산림의 상단부를 빠르게 태우며 지나가기 때문에 산불의 확산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수관화 진행 과정에서 불이 붙은 작은 나뭇가지나 솔방울이 강풍을 타고 날아가 새로운 산불을 만드는 것이 비화(飛火) 현상으로, 실제 2019 고성•강릉에서 발생한 대형산불 시 불똥이 산과 하천을 뛰어넘어 2km까지 날아가는 것이 관측되기도 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