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첨단 물류 시스템 개발에 집중
CJ대한통운, 첨단 물류 시스템 개발에 집중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TES물류기술연구소로 조직개편...R&D·컨설팅 중심
TES물류기술연구소가 개발한 로봇팔을 한 물류센터에서 테스트 중이다.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가 개발한 로봇팔을 한 물류센터에서 테스트 중이다. ⓒCJ대한통운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CJ대한통운이 자사 기존 물류연구소를 'TES물류기술연구소(이하 연구소)'로 변경하고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소 주업무를 전략 수립·실행 중심에서 기술개발 및 컨설팅 중심으로 체질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언택트(Untact) 비지니스와 라스트 마일서비스 등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효율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조치다. R&D와 관련 없는 전산부문은 연구소에서 분리하고 미래기술개발, SCM컨설팅, 운영최적화, 데이터 분석을 담당한는 4개 팀으로 재편된 것.

CJ대한통운 관계자는 본지와 통화에서 “4차산업 혁명 기술현장에 적응 되면서 산업 패러다임이 첨단산업으로 변모하는 가운데 연구소의 조직개편은 R&D와 첨단기술의 초격차 역량에 기반해 선제적으로 미래에 대비하고 혁신성장을 추구해 나가겠다는 의지”라며 “보관, 하역, 운송 등 인력을 통한 기능적인 물류를 지능화, 무인화 등 첨단물류 환경으로 전환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CJ대한통운에 따르면 올해 말까지 AI기반의 비정형물체 피킹기술과 무인지게차 등을 도입한다. 현재 일부 장비들은 현장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또 택배 작업자들이 고중량 물건을 쉽게 들 수 있는 파워슈트, 자동 상하차 기술이 적용 된 택배 허브터미널 등도 개발 진행 중이다.

이외에도 TES물류기술연구소는 SCM분야에서 최고 효율, 최저 비용의 맞춤형 솔루션, 수배송 경로 최적화, 빅데이터 분석 등을 제공한다.

한편 TES는 T(Technology), E(Engineering), S(System & Solution)의 약자로, CJ대한통운이 초격차 역량 기반의 글로벌 물류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추구하고 있는 핵심 기술을 지칭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