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정부는 ‘코로나19’가 어느 정도 완화되고 있지만 세계적인 추세가 여전하다고 보고 재유행을 대비해 5월 중 ‘호흡기 전담 클리닉’을 지정해 운영키로 했다.
4일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이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을 통해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른 의료기관과 의료인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고 환자 진료에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의료이용 체계 개선이 추진된다”고 했다.
이는 “일반적인 호흡기 발열 환자를 중점적으로 안전하게 진료하는 체계를 마련하고 호흡기 발열이 아닌 다른 질환의 환자들 또한 감염의 우려 없이 안전하게 진료받을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김 차관은 “호흡기 전담 클리닉을 지정, 운영함으로써 초기 호흡기 발열 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진료 시스템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며 “호흡기 전담 클리닉은 대한의사협회의 제안을 적극 반영하여 마련한 것으로 민관 협력의 상생 모델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또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간을 제공하고 지역 의사가 참여하는 개방형 클리닉이나 의료기관을 지정하는 의료기관 클리닉의 두 가지 유형을 운영해 나갈 계획”이라며 “우선은 개방형 클리닉부터 시행하고 보완해 나가면서 대한의사협회와 지역의사회 협조 하에 신청을 받아 순차적으로 의료기관 클리닉을 지정, 운영토록 하겠다”고 했다.
더불어 “정부는 행정업무 등 진료 이외의 업무를 지원하고 호흡기 환자 진료에 드는 유형을 감안해 적정 보상을 추진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지정 운영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지침은 의료계와 협의해서 5월 초에 마련할 예정”이라고 했다.
또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해 “현재 시행 중인 전화상담, 처방운영도 개선하고 동네 의원들에 대한 의견 수렴 결과 전화상담 처방은 기존 대면진료보다 난이도가 높고 별도 인력과 추가 장비가 필요해 향후 동네 의원에서 전화상담 처방을 시행할 경우에는 진찰료 외에 전화상담 관리료를 추가 적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