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의 정의연 후원금, 누구 돈인가 꼬리표가 없다
윤미향의 정의연 후원금, 누구 돈인가 꼬리표가 없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강수 회장
박강수 회장

위안부 피해자 쉼터 ‘고가 매입·헐값 매각’ 관련 의혹으로 도마에 오른 더불어시민당 윤미향 당선인이 이제는 자신의 부동산 보유와 관련해 여러 의혹이 쏟아지면서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는데, 심지어 18일엔 자신이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를 경매로 사기 위해 전에 살던 아파트를 팔았다’던 해명을 불과 하루도 지나지 않아 스스로 번복하고 ‘적금 등 통장 3개를 해지하고 가족에게 빌린 돈으로 샀다’고 말을 바꿨을 만큼 궁색한 지경에 이르고 있다.

한 발 더 나아가 윤 당선인은 과거 수년간 1가구 2주택자로 살아 오면서 부동산 담보대출 한 번 받지 않았고 기존 주택을 매각하지 않은 채 수억 원의 부동산을 매입했다는 점도 새로 밝혀져 그 많은 현금을 어떻게 마련할 수 있었는지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결국 자금 출처에 대한 의심의 시선은 그가 이사장을 맡아왔던 정의기억연대로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인은 자그마한 회사를 운영해오면서도 전문적 지식이 부족하여 불가피 노무사와 회계사, 자문변호사를 두고 세무와 노사문제 등 각종 법률적 문제를 하나 하나 자문받아 운영을 해왔는데, 스스로 영리활동을 하는 것도 아니고 불특정 다수의 국민들과 기업으로부터 후원금을 받고 정부로 부터 지원금을 받아 꾸려가는 NGO 시민단체가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지 않고 그 오랜 기간 동안 자금을 불투명하게 운용해 왔다는 게 새삼 놀랍기도 하지만 참으로 납득하기도 어렵다.

더구나 본인이 당해본 경험상 돈에는 꼬리표가 없어 공적인 자금을 사적인 ‘개인 돈’과 섞어버리면 횡령한 돈이 어떤 돈인지 그 금액을 특정하기 어려워 이를 피해자가 증명하기 어렵다는 점을 계획적인 횡령범들이 악용하는 수법으로 개인 통장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심지어 민주당이 지난해 1월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가 별세했을 당시 김 할머니 장례비용 기부 명목으로 윤 당선인의 개인 계좌를 통한 모금을 독려한 것으로 밝혀져 이번 사안은 윤 당선인 한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라 민주당과의 연관성도 분명하게 규명해야 한다.

당초 윤 당선인에게 문제의 위안부 쉼터를 소개해줬던 인물도 민주당 이규민 당선인이고, 이 당선인 본인 역시 소녀상 건립 성금을 모아 당초 목적과 다르게 김제동씨 강연료로 전용한 전력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는데 윤 당선인을 두둔해오던 민주당 내부에서도 이낙연, 박범계, 박용진 의원등이 점차 온도차 있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본인이 성실히 벌어들인 돈도 아니고 기부, 후원을 받았다면 당연히 그 취지에 맞게 쓰고, 시민들의 신뢰를 기반으로 성장해온 비영리단체라면 적어도 자금은 어느 기관보다 투명하게 관리하는 게 순리임에도 ‘위안부 할머니’를 비롯해 여러 명분을 내세워 사익을 추구하려는 이들은 윤 당선인 외에도 우리 사회에 적지 않을 것이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그동안 성역화 되어온 각계각층의 시민사회단체들이 제대로 자금을 운용·관리하는지 철저하게 전수조사해볼 필요가 있다.

또 검찰과 야당은 기왕 윤 당선인 스스로도 여전히 의원직에서 물러날 생각이 없다고 하니 이번 사건을 ‘본보기’ 삼아 개인 계좌로 기부금을 받는 등 회계 부정을 비롯한 여러 의혹들을 철저히 발본색원하여 의원직 박탈은 물론 처벌도 엄중히 이뤄질 수 있도록 끝까지 파헤쳐 주기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