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윤미향 당선인 논란이 장기화되면서 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도 떨어지고 있는 데 반해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은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에 대한 기대 때문인지 반등한 것으로 1일 밝혀졌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YTN의 의뢰로 지난달 25~29일까지 전국 성인 2518명에게 조사해 이날 발표한 문재인 대통령 5월 4주차 국정수행 평가 결과(95%신뢰수준±2%P,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에 따르면 문 대통령에 대한 긍정평가는 59.9%(매우 잘함 38%, 잘하는 편 21.9%)로 전주 대비 2.4%P 하락했으며 부정평가는 반대로 2.7%P 올라 35.3%(매우 잘못함 21.8%, 잘못하는 편 13.6%)를 기록했다.
특히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격차가 24.6%로 여전히 긍정평가가 오차범위 밖에서 부정평가보다 높은 것으로 나오고 있지만 총선 이후 가장 좁혀진 수치란 점이나 핵심 지지층이 많은 광주전라(9.6%p↓, 85.5%→75.9%, 부정평가 19.5%)와 서울(3.2%p↓, 60.4%→57.2%, 부정평가 36.9%) 등에서 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심상치 않은 신호로 풀이되고 있다.

심지어 일간 지표에선 조사 마지막 날인 29일에 대통령 지지율이 57.4%로까지 떨어졌는데, 연령별로는 70대, 60대, 40대, 30대에서 모두 하락한 것으로 나왔고 직업별로는 무직(9.8%p↓, 61.2%→51.4%, 부정평가 38.7%), 노동직(4.7%p↓, 64.7%→60.0%, 부정평가 36.6%), 농림어업(4.5%p↓, 54.4%→49.9%, 부정평가 48.2%)에서 주로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뿐 아니라 동 기관이 동일 기준·대상을 통해 조사한 정당 지지율(표본오차 등 위와 모두 동일,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참조)에서도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한 주 전보다 0.4%P 내린 42.1%를 기록하며 2주 연속 반등하지 못한 반면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은 동기 대비 1.5%P 상승하며 6주간 이어온 하락세를 마감하고 26.3%를 얻은 것으로 확인됐는데, 흥미로운 점은 민주당이 주요 지지기반인 광주·전라에서 전주보다 5.4%P 하락했다면 통합당은 광주·전라에서 5.6%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범여권으로 꼽히는 열린민주당도 지난주보다 0.6%P 떨어진 5.6%, 정의당 역시 1%P 내린 5%를 얻는 데 그쳤으며 국민의당은 0.2%P 상승한 4%를 기록했고 기타 정당은 전주와 동일한 2%, 무당층은 0.3%P 오른 12.7%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