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김종인 와서 통합당 안정돼…金 대권 도전? 억측 안 해야”
주호영 “김종인 와서 통합당 안정돼…金 대권 도전? 억측 안 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강정책서 4선 연임 금지 뺀 이유? 빈자리를 청년들이 바로 들어오는 게 아니기 때문”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오훈 기자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오훈 기자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가 2일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의 취임 100일을 맞아 “김 위원장이 와서 당이 많이 안정되고 혁신과 중도 실용에 매진하는 점에 관해 좋은 평가가 있는 것 같다”고 입장을 내놨다.

주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YTN라디오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김 위원장과 관련 “저희들이 평가하면 자칫 자화자찬한다고 할 수 있어 조심스럽지만 언론과 여론의 평가가 어떤지가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다만 그는 김 위원장이 대권 도전에 나설 가능성에 대해선 “억측이나 이런 것들은 안 하는 게 좋을 것 같다”며 “(김 위원장) 본인이 거듭 본인의 역할을 당 혁신과 재건이고 물러날 때를 잘 안다고 했기 때문”이라고 선을 그었다.

또 주 원내대표는 새 당명(국민의힘)에 대해선 “지금까지는 자유, 민주, 통합, 공화 이런 가치를 담는 당명을 많이 채택하는 경향이었는데 요즘은 가치중립적인 당명을 많이 택한다고 한다. 정당이 추구하는 가치는 다양한데 당명에는 한 개, 내지 두 개의 가치 밖에 담을 수 없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라며 “이번 당명 공모에서 국민들이 보내준 제안이 1만6900건이 되는데 그중에 무려 3300건의 국민이란 단어가 들어가는 게 좋겠단 것이 압도적으로 많아 반영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제 정치가 이념의 시대가 아니라 중도, 실용의 시대라는 탈이념적인 경향도 반영된 것”이라며 “그 다음에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것은 헌법 가치 아니겠나? 우리 헌법의 중심 개념이 국민이고 반복적으로 국민이 주인임을 밝히고 있기 때문에 저희들은 우리 당명에 국민이란 단어를 쓴 게 그 취지에도 부합한다고 보고 있고 그래서 저는 찬성하는 입장”이라고 부연했다.

반면 주 원내대표는 전날 새 정강정책 내용 중 ‘4선 연임 금지’ 문구를 빼게 된 이유에 대해선 “우선 헌법에 국회의원의 임기 제한 규정이 없고 정강은 당론보다 훨씬 강한 당의 헌법적인 성격인데 의원 2/3의 찬성을 얻기 어렵다”며 “이 연임 금지가 어떤 목적으로 하게 됐느냐 하면 청년들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는데 3선 이상을 제한해서 못 나오게 하더라도 그 빈자리를 젊은 청년들이 바로 들어오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좀 더 논의되고 검토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그는 상임위 재분배 문제와 관련해선 “김태년 원내대표와 만나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면서도 “7개 상임위를 저희들에게 배분했고 그건 언제라도 갖고 가란 취지의 얘기가 있었지만 법사위에 대한 변경 없이 7개 상임위를 갖고 오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