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시간 후인 23일 오전 8시30분에야 보고를 받아
-이 사태가 북측에 답변과 조치만 취해달라고 할 일이냐
[시사포커스 / 정유진 기자] 안철수 국민의 당 대표는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은 사전 녹화 방식이라 지난 15일 녹화가 됐고 18일 유엔으로 발송됐다는 청와대의 설명에 대해 정부가 "가장 먼저 했어야 할 일은 '종전선언' 메시지를 담은 유엔연설의 전면 중단이었다"고 주장했다.

안철수 대표는 25일 페이스북에 "대한민국 국민이 사살당하고 불 태워지는 사상 초유의 참극이 발생했다"면서 "사안의 심각성을 인지해 23일 새벽1시에 긴급 관계장관회의(NSC)를 소집할 정도였다면, 이에 앞서 가장 먼저 했어야 할 일은 '종전선언' 메시지를 담은 유엔연설의 전면 중단이었다"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또한 대한민국 국민이 우리 군이 지켜보는 가운데 살해당한 엄청난 일이 발생했는데도, 대통령은 새벽 1시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7시간 후인 23일 오전 8시30분에야 보고를 받았다니, 대통령이 그토록 비판하던 세월호 7시간과 무엇이 다릅니까?"라고 덧붙였다.
그는 "대통령은 대한민국 국민의 수호자여야 하는데, 보고를 받은 후인 23일 오전에 열린 군 진급 신고식에서도 “평화의 시기는 일직선이 아니다”라는 알쏭달쏭한 말만 했다"면서 "정작 북한의 대한민국 국민 사살과 해상화형이란 희대의 도발을 저질렀음에도 이를 언급하거나 규탄하지 않았다"고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사건발생 이후 40시간이 훌쩍 지난 24일에서야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 군이 실종된 우리 공무원을 총살하고 시신을 불태운 사건에 대해 “충격적인 사건으로 매우 유감스럽다”고, 그것도 대변인을 통해 밝혔다"면서 "그리고 말로만 “북한 당국은 책임 있는 답변과 조치를 취해야 한다 했다"고 비난했다.
안철수 대표는 "이 사태가 북측에 답변과 조치만 취해달라고 할 일이냐?"면서 "북측과 연결된 핫라인도 작동하지 않는다는데 답변은 어떻게 들을 것이며 무슨 조치를 취해달라는 말이냐?"고 반문했다.
또 "그러면서 우리 군에 “경계태세를 더욱 강화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만반의 태세를 갖추라”고 뒷북지시만 하면 그만이냐?"고 따졌다.
안 대표는 "유가족들의 비통한 마음에 대해서 한번이라도 생각해보셨냐?"면서 "국민에게 위해가 닥친다면 나라 전체가 나서서 대응하는 것이 기본중의 기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자국민이 총격을 당하고 참혹하게 불태워지는 그 시간에 대통령과 대한민국군은 어디서 무얼하고 있었냐?"고 묻고 "사건의 전모를 낱낱이 밝히고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대한민국에서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말아야 한다"면서 "대통령께서는 우리국민의 생명을 앗아간 북한당국에게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하시겠다는것인지 속시원하게 밝혀주시기 바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