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로나19 바이러스 7종 중 2종만 연구용 공급 중”
“국내 가장 많이 발생하는 GH형이 아닌 S·L형만 연구용으로 제공”
“코로나19 바이러스 연구 가능한 국내 제약사 연구시설 수는 전무해”

[시사포커스 / 이혜영 기자] 서정숙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정부가 민간 제약사 등에 제공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전체 7가지 종류 중 단 2종에 불과”했으며 “국내 가장 많이 발생하는 GH타입이 아닌 S·L 타입만 제공”한 것에 대해 “정부가 코로나19 위기상황이라며 온 국민에게 이라며 희생을 강요하고 있는데, 정작 질병관리청은 절차적 문제를 논하며 늑장대응”했다고 비판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정숙 국민의힘 의원은 7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현재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하여 총 7가지로 분류하고 있음에도 정부는 여태껏 단 2종만 연구용으로 분양하고 있다”며 부실한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서 의원은“우리나라의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상황을 살펴보면 GH형이 67.4%로 가장 많다”고 말하며“정부가 연구용으로 배포한 S형과 L형은 4.5%에 불과함에도 S형과 L형만을 연구기관 등에 계속 제공해 온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질병관리청이 이태원 감염사태 이후 4개월이나 늦은 9월 15일 GH 등 다른 타입의 바이러스 분양에 나섰다”고 질타했으며 “로나19 바이러스를 직접 연구할 수 있는 생물안전 3등급(BL-3) 이상의 시설은 국내 72개이지만, 이 중 민간기관은 2개에 불과”하다며 “코로나19 종식에 필수적인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인프라 조성의 구체적인 계획 없는 것인가”라며 의문을 제기했다.
서 의원은 “중국 우한생물학연구소·영국 아스트라제네카·미국 화이자가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해외사례를 들며“한국의 바이오제약산업이 세계적 역량을 갖추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임을 지적하였고“국내 제약사들은 바이러스 관련 시험 모두를 외부 위탁하고 있어 자체 연구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서정숙 의원은 “정부는 이러한 지적에 대해 ‘GH형의 분양은 절차를 밟느라 늦었고, S,L형은 긴급한 위기 상황이라 즉시 분양했다’고 입장을 밝혔는데, 과연 2월에 비해 GH형이 유행하기 시작했던 5월이 덜 긴급한 상황이었는지 묻고 싶다”고 반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