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임대주택 10채 중 7채, 임대소득 파악불가...'깜깜이 행정'
전국 임대주택 10채 중 7채, 임대소득 파악불가...'깜깜이 행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남4구만 절반 정도 파악, 임대소득 모르면서 세금정책 추진
사진은 기사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없는 자료화면 / ⓒ시사포커스DB
사진은 기사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없는 자료화면 /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정부가 전국 임대주택 10채 중 7채는 임대소득이 얼마인지도 모르면서 주택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국회 국토위 소속 김상훈 의원이 국토부로부터 제출 받은 ‘시도별 주택임대차 정보 현황’에 따르면, 올해 6월 현재 전국의 임대 중인 주택 731만 3,204호 중 (공부상) 임대료가 파악 가능한 주택은 207만 464호(28.3%)에 불과했다. 특히 이중 524만 2,740호(71.7%)는 임대료 정보가 없는 상황.

이에 김 의원은 文정부에서 각종 임대사업자 정책과 세제개편을 추진했지만, 가장 기초적인 임대소득 자료도 없이 진행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시도별로는, 서울이 47.4%로 임대료 파악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경기 35.0%, 대전 33.9%, 세종 32.4% 순이었다. 부산, 대구, 광주 등 주요광역시는 모두 30% 이하를 밑돌았고, 전남(6.8%)과 제주(8.4%)의 경우 임대주택 10곳 중 1곳의 임대소득도 알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한편 서울시 중 강남4구의 경우 49.7%로 전국과 서울 전체(47.4%) 비율을 상회했다. 

이를 두고 김 의원은 “文정부의 ‘집값정책’이 서울, 그 중에서도 강남권에 집중돼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지방, 특히 수도권 및 광역시가 아닌 지자체의 경우 임대소득을 알 수 있는 비율이 10%대 중반에 그쳤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文 정부에서 추진된 각종 주택 관련 세금 강화 정책이 과연 현실에 기반을 두고 이루어진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라며, “국토부는 새 시스템 구축으로 임대소득을 훤히 다 본다고 공언했지만, 결국 깜깜이 행정에 불과했고, 그 불편과 피해는 국민에게 고스란히 전가된 셈”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