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식 "추(秋).윤(尹)대결의 승리는 오기와 내공의 결판"
김근식 "추(秋).윤(尹)대결의 승리는 오기와 내공의 결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늘 윤총장 작심발언 보니, 추장관이 못이길 것
-저리 할말이 많은데도 참으며 국감 때까지 때를 기다리는 내공
-틈만 나면 국회에서 페북에서 하고싶은 말 쏟아내는 추장관과 대조적
-인사권과 수사지휘권으로 식물총장 만들어도 사퇴하지 않는다는 버티기 전략
-추장관이 할 수 있는게 별로 없어 보여

[시사포커스 / 정유진 기자]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윤석열 검찰총장의 국정감사장의 발언을 놓고 지금 추장관이 이기는 것처럼 보이지만 윤 총장은 때를 보며 반격의 칼을 갈고 있다는 느낌마저 든다며 결국은 민심을 얻는 쪽이 승리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늘 윤총장 작심발언 보니, 추장관이 못이길 것"이라고 지적한 김근식 경남대 교수.ⓒ시사포커스DB
"오늘 윤총장 작심발언 보니, 추장관이 못이길 것"이라고 지적한 김근식 경남대 교수.ⓒ시사포커스DB

김근식 교수는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오늘 윤총장 작심발언 보니, 추장관이 못이기겠네요"라는 글을 올리고 "저리 할말이 많은데도 참으며 국감 때까지 때를 기다리는 내공이, 틈만 나면 국회에서 페북에서 하고싶은 말 쏟아내는 추장관과 대조적"이라고 했다.

김 교수는 "임기 동안 맡은 바 소임을 다하겠다고 단호하게 잘라말하는 것은, 추장관이 인사권과 수사지휘권으로 식물총장 만들어도 사퇴하지 않는다는 버티기 전략"이라며 "모욕과 공격을 버텨 내겠다는 의지라면 추장관이 할 수 있는게 별로 없어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어 "수사지휘권 발동에 대해 위법부당하고 비상식적이라고 비판하고 총장은 장관의 부하가 아니라는 대목에서는 지금까지 장관의 인사와 지휘를 수용하긴 했지만 본심으로는 용납하지 않고 있다는 강력한 표현"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중상모략이 가장 점잖은 표현이라는 반박에 이르러서는 지금 추장관이 이기는 것처럼 보이지만 윤총장은 때를 보며 반격의 칼을 갈고 있다는 느낌마저 든다"며 "추장관의 고집과 오기도 간단치 않지만, 윤총장의 인내와 내공도 만만치 않다"고 했다.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추·윤 대결의 승리는 오기와 내공의 결판이기도 하지만, 결국은 민심을 얻는 쪽이 승리하는 것"이라며 "추 장관이 쓸 카드는 다 소진되었고 윤 총장의 버티기는 계속된다"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민심은 곧 최후의 승자를 선택할 것"이라고 했다.

김 교수는 또 다른 글에서 "중앙지검장 시절 윤석열은 문재인 정권의 적폐청산 수사에 집중했고 그 성과를 인정받아서 검찰총장으로 발탁된 인물"이라며 "중앙지검장 당시 적폐청산 수사에는 당시 민주당이 그렇게 박수보내고 환호하더니, 대통령이 총장으로 임명하고 민주당은 청문회 방패막이까지 하더니 조국수사 이후 윤석열은 정치검찰의 수괴가 되었고 검찰개혁에 저항하는 기득권검찰의 수장이 되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심지어 박범계 의원은 그가 그리 칭송하던 중앙지검장 시절까지 소환해서 옵티머스 수사의뢰사건이 무혐의 처리되었다며 이제와서 당시의 윤석열을 비난하고 있다"면서 "중앙지검에 접수되는 한해 사건이 적어도 수십만건 되고, 그래서 지검장 보고없이 부장전결로 끝나는 사건이 부지기수이고, 2018년 당시의 옵티머스 수사의뢰는 아직 대형사기사건으로 인식되기 전이었는데도, 윤석열 중앙지검장이 보고받지도 않은 사건을 들이대며 이제와서 윤석열 공격의 소재로 삼는 것은 참 비열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박범계 의원님, 언제는 윤석열이 참 의로운 검사라더니 이제와서 그 의로운 윤석열이 사실은 나쁜 검사라는 겁니까?
적폐청산에 앞장섰던 윤석열을 그리 칭송하더니 이제와서 그 윤석열이 사실은 옵티머스를 무혐의 처리했다고 책임을 덮어씌우는 겁니까?"라며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이런 이중잣대가 바로 검찰을 정치화시키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리고 "검찰을 '감탄고토'의 수단으로 인식하는 게 바로 정치검찰을 만드는 것"이라고 결론 지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