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국민의힘 초선의원들이 30일 법무부와 검찰 간 갈등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의 입장 표명을 요구하며 청와대로 향하다 경찰의 저지로 막힌 데 대해 “야당 초선 의원들을 무력으로 제지시킨 폭력 사태에 대해 분명한 사과와 책임자 문책을 요구한다”고 입장을 내놨다.
국민의힘 초선 의원들은 이날 오후 입장문을 통해 “오늘 면담요구에 청와대는 겹겹이 쌓은 경찰병력으로 입구부터 맞섰다. 또 다시 쌓은 재인산성, 국민과 대면이 두려운 청와대의 민낯”이라며 이같이 촉구했다.
앞서 강민국, 윤두현, 권명호, 배현진. 서정숙, 이종성, 정희용, 전주현, 조명희, 양금희, 황보승희 등 10여명의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오전 윤석열 검찰총장 해임 이유, 월성 1호기 경제성 조작 의혹, 청와대의 울산시장 선거 개입 의혹에 대한 문 대통령의 답변 촉구 질의서에 대한 답변을 듣겠다며 최재성 정무수석과의 면담을 요청하면서 청와대로 이동하다가 경찰에 막히자 언쟁을 벌이는 등 10여 분간 대치한 끝에 결국 비서동 입구인 연풍문 앞으로 이동했는데 오후에 최 수석이 직접 만나겠다고 하면서 뒤늦게 면담은 성사됐다.
다만 면담에 나선 최 수석은 이날 오후 연풍문에서 국민의힘 의원들로부터 지난 27일 자신들의 성명이 문 대통령에게 전달됐느냐는 질문에 “전달하지 못했다. 국회에서 질의하거나 여야정 대표 회동 등에서 얘기할 문제지 글로 오갈 문제는 아닌 것 같다”고 답변한 데 이어 문 대통령이 주재하는 수석 보좌관회의 참석을 이유로 15분 만에 면담을 마치고 돌아갔는데, 이에 강민국 의원은 면담 직후 기자들과 만나 “최 수석과의 면담이 문 정권이 국민, 국회, 야당을 바라보는 시각을 보여준다. 정권의 불통을 느끼는 시간이었다”고 날선 비판을 쏟아냈다.
특히 최 수석은 코로나19 방역을 이유로 청와대 진입을 제지한 경찰들의 태도에 대해 야당 의원들이 사과를 요구하자 ‘과도하다’면서 거절한 것으로 전해졌는데, 이에 국민의힘 초선의원들은 입장문에서 “폭력을 촉발시키려는 듯한 의심이 들 정도로 (경찰 태도가) 강압적이었다”며 “납득할 만한 상황 전개가 이뤄질 때까지 국회에서, 청와대에서 우리의 싸움은 절대 멈춤이 없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한 발 더 나아가 이들은 문 대통령도 겨냥 “야당은 국정 운영의 동반자이며 국민과 수시로 소통한다던 대통령은 이제 대한민국에 없다”고 직격탄을 날린 데 이어 “청와대는 오로지 문 대통령 심기만 살피고 있는데 그렇게 정권의 비리도 국회에서, 또 사법부를 통해 착착 덮어갈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