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현민 "거짓기사, 십년 후 큰 후회...'나'를 통해 보라"
탁현민 "거짓기사, 십년 후 큰 후회...'나'를 통해 보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거짓기사 후회할 날 올테니 올리지 말라' 경고하는 탁현민
과거 출간한 책 속 문구, 사과해도 여성비하 꼬리표 떼지 못해
"따져묻고 싶은 것이 아니라, '나'를 통해 보라고 일러주고 싶어"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 사진 / ⓒ뉴시스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 사진 / ⓒ뉴시스

[시사포커스 / 이혜영 기자]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이 거짓·과장·왜곡된 기사에 대해 "부분의 과장과 약간의 의도와 설정아래 쓴 글이라도 모든 해명은 변명이되고 당신은 그 글과 같은 사람이 되어 또 다른 누구의 '기사거리'가 된다"며 23일 경종을 울렸다.

탁 비서관은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의도적인 곡해와 과장과 때로는 서슴없는 거짓말들이 정돈된 '기사'를 볼 때마다, 요즘은 바이라인에 달려있는 그 이름들에게 전화를 걸고 싶어진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러나 전화를 걸어서 따져묻고 싶은 것이 아니다"라면서 "그의 이름이 박제되어 달려있는 글들과 글 사이의 행간까지도, 십년 후, 이십년 후, 자신에게 얼마나 큰 후회와 절망이 될지 '나'를 통해 보라고 가만히 일러주고 싶다"고 강조했다.

앞서 탁 비서관은 2007년 출간했던 <남자 마음 설명서> 등의 특정 문구로 인해 여성비하 논란이 일며 자신의 꼬리표처럼 따라다니는 것을 염두에 두고 한 말로 해석된다.

그의 책에는 '이왕 입은 짧은 옷 안에 뭔가 받쳐 입지 마라' 등의 문구가 들어가면서 그는 왜곡된 성인식 비판에서 비켜 가지 못하고 낙인 찍혔다.

탁 비서관은 과거 "그릇된 사고와 언행에 대해 깊이 반성한다"고 사과했음에도 불구하고 종종 언론에서 회자되고 있다.

그는 "이 이야기를 실제로 어떤 기자에게 해주었더니, 자신은 그렇게 '기사거리'가 될만한 사람은 되지 못할 거라고 대답했다"면서 "'그래서 안심이 되니?' 되묻진 않았지만 그 말을 했던 그는 퍽 쓸쓸해 보였다"고 말했다.

이어 "아마도 그는 그의 말대로, 뭐라고 써도 아무꺼리가 될 수 없는 삶을 살게 될지 모르겠다만 그 말을 하는 그의 마음은 하나도 편해보이지 않았다"고 지적하면서 "그러니 그러지 말자"고 일침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